14년 만에 마주한 공룡… 더 강해진 잔혹한 야성

지구 상에서 공룡과 인간은 한 번도 공존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공룡은 꽤 오랜 시간 인간에게 아주 친숙한 존재였다. 특히 아이들에게는 더더욱 그랬다. 아이들은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 등 시기별로 서식했던 공룡 이름을 줄줄줄 나열했다. 이름도, 생김새도, 살았던 시기도 모두 헷갈려 하는 아빠들을 답답해하며 핀잔을 주곤 했다. 모두 어린이책 속 그림이거나 조악한 공룡 장난감을 통해서 배웠다. 1993년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쥬라기 공원’이 처음 나왔을 때 아이들의 열광은 당연했다. 당시로서는 믿기지 않을 만큼 실감 나는 최첨단의 컴퓨터그래픽(CG)을 앞세운 공룡 세계가 눈앞에 구현됐으니 어른들까지 그 열풍에 가세했다.

1997년, 2001년 잇따라 나온 ‘쥬라기공원’ 2, 3편은 1편만큼 충격적이지 않거나 오히려 식상했다. 더이상 보여 줄 게 없으니 4편 제작은 요원했고, 모두들 쥬라기공원 시리즈는 끝났겠거니 생각했다. 하지만 14년 만에 4편 격인 ‘쥬라기 월드’로 돌아와 11일 개봉했다. 스필버그가 총괄 제작을 맡은 ‘쥬라기 월드’로 돌아온 공룡들은 인간을 속이고 몸속에 있는 위치 추적 칩을 빼낼 수 있을 정도로 지능을 갖췄거나, 아니면 인간과 공존할 수 있게 길들여진 형태로 진화했다.

영화는 제목과 다르게 백악기 후기 공룡 세상을 구현한다. 바닷속 지배자 모사사우루스와 땅 위의 최상위 포식자 티라노사우루스 렉스를 비롯해 벨로키랍토르, 갈리미무스, 트리케라톱스, 프테라노돈 등이 스크린을 헤집고 다닌다. 여기에 다른 공룡의 유전자를 조작해 만든 ‘인도미누스 렉스’까지 등장한다. ‘길들여지지 않은 공룡’이라는 뜻으로 고도의 지능을 갖추고서 포식이 아닌 유희로 살상을 즐기는 잔혹한 존재로 설정됐다. 거대한 섬에 설계된 테마파크에서 탈출한 유전자 조작 공룡과 인간의 추격전이 펼쳐진다.

새로운 생명체의 탄생을 관장하겠다는 인간의 오만과 이익에 눈먼 탐욕, 그리고 그에 대한 경고, 공룡과도 친구처럼 교감하며 공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는 권선징악적 전형성이다. 그동안 이 시리즈물이 반복해 왔던 서사를 되풀이했다는 아쉬움을 남긴다. 또한 오마주라는 명분으로 영화 곳곳에 ‘쥬라기 공원’ 관련 이미지를 깔아 놓았지만 과거의 화려했던 추억을 되살리려는 안간힘처럼만 비친다. 이번에야말로 진짜 마지막이 될 가능성이 높은 시리즈물이다. 12세 관람가.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