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소 평범해 보이는 제목, ‘리틀 보이’는 왜소증 때문에 99㎝에서 신장이 멈춰버린 한 소년의 별명이자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히로시마에 투하된 핵폭탄의 코드명이다. 이데올로기와는 상관없이 그저 입대한 아버지를 다시 돌아오게 하기 위해 일본인과 친구가 되는 소년과, 전쟁을 끝내는 데는 기여했지만 패전국에 엄청난 인적·물적 피해를 끼칠 수밖에 없었던 군사 작전이 동일한 호칭을 갖고 있다는 점은 아이러니해 보인다. 여기에는 전쟁의 명분이나 논리가 갖고 있는 모순을 꼬집으며 주인공의 순수함을 부각시키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세계대전이라는 배경이 주는 무게감에도 불구하고 종종 훈훈한 미소를 띠게 하는 이 영화는 무엇보다 간절한 믿음이 가진 힘에 관한 이야기이며, 가족 간의 사랑 및 이웃 간 우정이 얼마나 소중하고 아름다운지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몸집이 작아 ‘리틀 보이’라 불리는 ‘페퍼’는 또래 아이들에게 무시를 당하는데다 유일한 친구이자 파트너인 아버지까지 전쟁터로 가게 되자 더욱 우울한 나날을 보낸다. 페퍼 역을 맡은 제이콥 살바티의 귀여운 외모와 다양한 감정연기는 초반부터 관객들을 몰입시키는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데, 도입부 부자 간의 즐거운 시간을 보여주는 장면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간절해지는 페퍼의 그리움에 안타까움을 더한다. 어느 날, 마술쇼에 다녀온 페퍼는 자신에게 초능력이 있다고 믿게 되고, 마을 신부는 그에게 굳건한 믿음은 신의 마음을 움직여 기적을 일으킬 수 있다면서 아버지를 돌아오게 하기 위해 실천해야 할 몇 가지 일들의 목록을 만들어준다. 여기서 신부가 페퍼에게 가르쳐준 ‘산도 옮길 수 있는 겨자씨만 한 믿음’은 성경 문구에서 출발해 한 사람의 간절한 소망이 세상을 바꾸어놓을 가능성으로 확장된다. 페퍼는 특유의 순수함으로 마을 사람들을 감동시키고, 그들도 페퍼와 같은 간절함을 갖게 만든다.
신부가 준 목록 중 페퍼에게 가장 어려운 일은 같은 마을에 사는 일본인, ‘하시모토’와 친구가 되는 것이다. 페퍼는 먼저 일본인에 대한 자신의 편견과 미움을 삼키고, 하시모토에 대한 적개심으로 가득 차 있는 주변 사람들의 눈총을 견디면서 조금씩 그에게 다가선다. 또래들에게 괴롭힘을 당하는 페퍼와 마을에서 내쫓길 위기에 처한 하시모토는 서로의 상처와 아픔을 보듬어주는 친구로, 나아가 대안적인 부자관계로 발전한다. 그리고 그들은 페퍼의 나머지 목록들을 함께 지워나가며 전쟁이 끝나기만을 애타게 기다린다.
전작 ‘벨라’(2006)에서 상처받고 소외된 도시인들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드러냈던 알레한드로 몬테베르드 감독은 ‘리틀 보이’에서도 한 사회 안에서 차별받고 고통당하는 인물들을 앞세워 그들에 대한 편견과 처우는 잘못되었음을 고발한다. 영화가 우리에게 왠지 친근하게 다가오는 것은 한국적 멜로드라마의 정서가 강하게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추운 연말, 가족들이 함께 볼 수 있는 따끈한 작품으로 추천한다. 10일 개봉, 12세 관람가.
윤성은 영화평론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