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계속 사랑하자니 괴롭고 이별 말하자니 더 괴롭다

장면 하나-현재: ‘토니’(엠마누엘 베르코 분)는 오른쪽 다리 인대가 끊어졌다. 스키로 빠르게 활강하다 당한 사고다. 그녀는 재활센터에 들어가 다시 걷기 위한, 고통스럽고 기나긴 치료를 시작한다.

장면 둘―과거 : 토니는 ‘조르조’(뱅상 카셀 분)와 사랑에 빠진다. 그녀는 이혼의 아픔을 한 번 겪은 적이 있지만, 첫눈에 반한 그와 평생을 함께한다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토니와 조르조는 결혼식을 올린다.

영화 ‘몽 루아’(Mon roi)는 토니의 입장에서 현재와 과거 장면이 번갈아 진행된다.(감독 마이웬 르 베스코가 등장인물과 비슷한 나이대의 여성이라는 사실과 관련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미 눈치챘겠지만, 결혼한 뒤부터 토니와 조르조의 관계는 삐걱댄다. 예컨대 이런 일이 있었다. 한밤중에 전화벨이 울린다. 전화를 받은 조르조가 급히 나가 봐야겠다고 토니에게 말한다. 그의 전 여자 친구 아녜스가 자살을 기도했다는 소식을 들었기 때문이다. 그녀는 토니의 임신 소식을 알고 나서 칼로 손목을 그었다. 그때부터 조르조는 아녜스를 돌보는 데 열심이다. 아이를 밴 아내는 뒷전이다. 그런 남편에게 실망한 토니가 화를 내자, 조르조는 이렇게 항변한다. “당신을 사랑해. 하지만 하루 종일 같이 있다간 미치겠어.”

그는 따로 집을 얻어 나가 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니와 조르조의 결혼 생활은 유지된다. 여전히 그녀에게 그는 사랑의 대상, 명실상부한 ‘나의 왕’(Mon roi)이다. 그러면서 토니는 망가져 간다. 조울증에 시달리는 그녀는 마모해 가는 삶을 약물에 의지해 겨우 견뎌 낸다. 한참 자신을 파괴하고 나서야 토니는 조르조와 헤어지기로 결심한다. 그런데 첫 번째 이혼과 두 번째 이혼은 양상이 다르다. 두 사람은 부부에서 남이 되었으나, 아들 신바드로 인해 불가피하게 이어져 있을 수밖에 없다. 토니와 조르조는 사랑과 불화의 과정을 되풀이한다. 예전과는 똑같지 않은, 차이를 내재한 반복이다. 같이 있어서 그들은 뒤뚝뒤뚝한다. 어찌됐든 앞을 향해 나아가며.

내가 아는 한, 부부를 절뚝발이에 비유한 원조는 작가 이상(李箱)이다. 그는 소설 ‘날개’에서 이렇게 쓴다. “우리 부부는 숙명적으로 발이 맞지 않는 절름발이인 것이다. 나나 아내나 제 거동에 로직(logic)을 붙일 필요는 없다. 변해(辯解)할 필요도 없다. 사실은 사실대로 오해는 오해대로 그저 끝없이 발을 절뚝거리면서 세상을 걸어가면 되는 것이다. 그렇지 않을까?” 어쩌면 그럴지도 모른다. 조르조와 토니뿐만 아니라, 많은 부부가 오히려 둘이어서 절름발이로 사는 것 같다. 그래서 토니의 현재 상황―재활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언젠가 목발 없이도 잘 걸을 수 있듯이, 언젠가 조르조 없이도 그녀는 잘 살 수 있을 것이다. 그를 볼 때마다 설레는 마음이야 시간이 지나도 어쩔 수 없겠지만. 지금 토니는 혼자 똑바로 걷기(살기) 위한 연습을 하고 있다. 26일 개봉. 청소년 관람 불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