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지뢰밭 위 소년들 ‘서스펜스’의 역설

서스펜스는 앞으로 일어날 상황에 대한 관객의 불안감·긴장감을 조성하는 극적 기법이다. 서스펜스 영화의 대가로 유명한 앨프리드 히치콕 감독은 프랑수아 트뤼포 감독과의 대담에서, 관객이 등장인물과 관련된 (특히 불행을 야기하는) 사실을 다 알지만 거기에 개입할 수는 없을 때 서스펜스가 발생한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서스펜스(suspense)의 라틴어 어원은 매달다(suspensus)라는 뜻이다. 서스펜스를 제대로 활용하는 영화는 등장인물로 하여금 스스로 벼랑 끝까지 걸어가게 한 다음, 그가 떨어지도록 부추긴다. 그리고 해어진 밧줄 하나에 의지해 거기에 관객을 같이 매달리게 한다. 허공에 떠 있는 상태, 우리가 당연히 작동한다고 여기던 모든 것이 멈춰버린다.

이것이 서스펜스의 또 다른 사전적 정의다. 덴마크 감독 마틴 잔드블리엣의 영화 ‘랜드 오브 마인’에 구현된 서스펜스는 관객을 이런 상태에 처하도록 한다. 짜릿하다기보다는 고통스러운 체험이다. ‘지뢰밭’이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작품은 지뢰가 터져 팔다리가 잘리고, 흔적도 찾을 수 없이 폭사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중심에 두기 때문이다. 그들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독일 군인들이다. 아니, 덴마크에 붙잡힌 독일 소년들이다. 전쟁 중 독일군이 매설한 150만여개 지뢰를 해체하는 작업에, 덴마크 당국은 대다수가 소년병이었던 2000여명의 독일군 포로를 강제 투입했다. 덴마크의 실제 역사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그중 반 이상이 죽었다. 덴마크는 독일이 저지른 만행을 앙갚음한다. 처음에는 피해자였으나 나중에는 가해자가 된 덴마크. “독일이 우리에게 한 짓을 생각해. 우리가 그들보다 나아”라고 덴마크군 대위는 말하지만, 이들은 괴물과 싸우다 괴물이 된 자의 행태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덴마크군 칼(로랜드 몰러) 상사도 마찬가지다. 그는 4만 5000개 지뢰를 석 달 안에 제거하는 일을 해야 하는 열 명 남짓한 소년병들의 관리를 맡았다. 밥을 주지도 않고, 병이 나도 쉬게 하지 않는다. 지뢰를 다 없애야 독일로 보내 준다며 칼은 그들을 냉혹하게 대한다.

자, 이제 예상한 대로의 서스펜스가 펼쳐진다. 등장인물과 관객이 함께 느낄 수밖에 없는 서스펜스다. 소년들은 모래사장에 엎드려 지뢰를 찾아 기폭 장치를 분리한다. 갑자기 폭발음이 들린다. 한 아이가 두 팔을 잃고 울부짖고 있다. 어떤 날에는 집에 돌아가면 뭘 할지 대화를 주고받던 아이들이 폭발에 휘말려 사라져버린다. 그렇게 지뢰 터지는 소리가 펑펑 날 때마다, 등장인물과 관객의 머릿속은 하얘진다. 여기에서는 국가의 법도, 인간의 도덕도 허공에 멈춰버린다. 그런 서스펜스는 모두를 괴롭게 만든다. 칼 상사도 예외가 아니다. 잇따른 서스펜스를 경험하며, 그는 적의가 이렇게 표출돼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과거처럼 미래를 살지 말라. ‘랜드 오브 마인’의 서스펜스가 수행하는 정지 효과는 우리를 향한 참혹한 경고의 윤리다. 6일 개봉. 15세 관람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