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존 인물에다가 시대의 어둠을 상징하는 악역이라 부담스러웠죠. 하지만 이 영화는 악당이 강력해야 반대편에 있는 사람들이 더 빛날 수 있어요. 박 열사 유족들을 만났을 때 가장 나쁜 역을 맡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씀드렸더니 누님은 흔쾌히 허락하셨고 형님은 마음의 짐을 지게 될 것 같다며 걱정해 주셨죠. 어둠 쪽 역할을 한 배우들 모두 망설임 없이 동참했어요. 영화를 함께한 모든 동료들이 고맙지만, 악역을 연기한 배우들이 0.1% 정도는 더 고맙죠.”
그는 박 열사의 고교 2년 후배이기도 하다. “학교 때는 박 열사를 몰랐어요. 3학년 교실은 후배들이 올라가지 못하는 무서운 층이었거든요. 열사가 가시고 나서야 동문회에 소식이 퍼지며 알게 됐죠. 이제 와서 동문이라는 이유로 사명감이나 책임감을 운운하는 건 시건방진 이야기 같아요. 다만 영화를 만들기로 했을 때 정말 최선을 다해 진정성을 담고 완성도를 높여야 한다는 부담감은 있었어요. 열사의 유족은 물론, 그 시대를 직접 겪은 분들이 너무나 많으니까요.”
김윤석은 무엇보다 영화가 유족들에게 합격점을 받아 다행이라고 했다. “30년을 버텨 온 단단한 분들이에요. 잘 봤다고 고맙다고 하시더라고요. 영화가 완성될 때까지 유족들과 박종철기념사업회, 이한열기념사업회로부터 아낌없는 지원을 받았습니다. 박 열사를 연기한 (여)진구가 영정 속에서 쓰고 있는 안경은 실제 박 열사의 것이에요. 엔딩에 나오는 ‘그날이 오면’은 이한열합창단이 불러 줬지요.”
김윤석은 ‘1987’이 한국의 ‘레미제라블’ 같은 작품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제작기 영상을 보면 시청광장 군중 신을 찍기 전에 감독님이 보조 출연자분들을 모아 놓고 이런 이야기를 해요. ‘여러분, 제가 이 영화를 만든 이유가 바로 이 장면 때문입니다. 여러분 모두가 주인공이라고 생각하며 연기해 주세요’라고요. 저도 그 장면을 보며 그런 느낌을 받았지요. 저는 다른 촬영 일정 때문에 가지 못했지만 악역을 연기했던 몇몇 배우들은 얼굴을 가리고 시청광장 장면에 참여하기도 했죠. 거기에 구호를 외치는 여성 목소리가 나오잖아요. 바로 (감독의 부인인) 문소리씨예요. 이 영화를 통해 우리 모두가 희망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