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상조사위가 확인한 블랙리스트 피해 사례는 독립영화 제작지원사업 10건, 다양성영화 개봉지원사업 17건이며, 작품 수는 중복 사례가 있어 모두 17개다.
이른바 문제영화로 분류된 영화는 용산 참사를 다룬 ‘두개의 문2’, 강정 해군기지를 소재로 한 ‘구럼비 바람이 분다’, 국가보안법이나 간첩과 관련된 이야기를 영상으로 풀어낸 ‘불안한 외출’, ‘자백’ 등이다.
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나 성소수자 등 민감한 문제를 다룬 ‘트웬티 투’(Twenty Two)와 ‘불온한 당신’도 지원 배제 대상에 포함됐다.
진상조사위는 청와대 비서실장 주재 수석비서관회의, 국정원 정보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실행 계획, 영진위 심사 결과 자료 등을 검토해 이들 기관이 조직적으로 이념 편향적이거나 정부 비판적이라고 판단되는 ‘문제영화’의 지원을 배제했다고 설명했다.

이후 영진위는 문제영화가 지원사업에 포함되지 않도록 심사위원을 개별 접촉하는 등의 방식으로 문제영화 리스트를 전달했고, 결과적으로 이 영화들이 심사에서 탈락했다고 진상조사위는 덧붙였다.
진상조사위는 “좌파 혹은 반정부를 이유로 지원사업에서 특정 영화를 원천적으로 배제한 것은 공정성과 평등한 기회 보장을 훼손한 위법 행위”라며 “영진위 사업 전반으로 조사 범위를 확대하고, 심사 과정의 문제에 대해서도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