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지금, 이 영화] 페인 앤 글로리

페인 앤 글로리
‘내 어머니의 모든 것’(1999), ‘그녀에게’(2002), ‘나쁜 교육’(2004), ‘귀향’(2006) 등의 유명 영화를 제작한 감독이 페드로 알모도바르다. 그는 칸영화제를 비롯한 유수의 영화제에서 섬세한 연출력을 인정받으며 스페인 영화계를 대표하는 감독으로 오래 자리매김해 왔다. 그런데 알모도바르도 이제 일흔이 넘었다. 몸과 마음의 컨디션이 한창때를 지났다는 뜻이다. 역시 젊음이 좋지. 이런 하나 마나 한 이야기를 하려는 것은 아니다. 청춘은 청춘대로, 노년은 노년대로, 저마다의 특징과 가치가 있다. 예컨대 청춘은 질주하는 에너지를 내뿜고, 노년은 그런 시절을 돌아볼 줄 아는 미덕을 지니지 않았나.

‘페인 앤 글로리’(Pain and Glory)는 후자에 해당하는 영화다. 이 작품은 알모도바르의 회상록이라 할 수 있다. 자전적 영화지만 그래도 등장인물의 이름을 바꾸는 식으로 최소한의 객관적 거리는 유지하려고 애썼다. 알모도바르 자신을 투영한 주인공을 살바도르 말로(안토니오 반데라스 분)로 명명한 예가 그렇다. 자서전이기는 한데 실제와 허구가 뒤섞였다는 말이다. 그뿐 아니라 실은 모든 자서전이 비슷하다. 회고하는 사람이 있는 그대로의 과거를 불러올 수는 없기 때문이다. 자서전이 기억에 바탕을 두는 한에서 그것은 (무)의식적으로 편집된다. ‘페인 앤 글로리’도 마찬가지다. 알모도바르의 ‘고통과 영광’은 각색의 산물이다.

그러기에 영민한 감독이 만든 이 영화는 고통을 겪은 뒤에야 비로소 영광을 얻을 수 있다는 자기계발서 같은 메시지를 전하지 않는다. 제목에 등위접속사 ‘앤드’(and)가 괜히 들어간 게 아니다. 이 작품은 고통과 영광이 선후 관계로 나타난다기보다, 대등 관계로 삶을 구성한다는 사실을 전한다.

말로가 세계적 거장으로서 누리는 영광은 병으로 시들어 가는 몸과 더이상 작품 활동을 하기 어렵다는 마음의 고통에 줄곧 붙어다닌다. 영광만 강조하거나 혹은 고통만 드러내는 서사에 나는 심드렁하다. 인생이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고 생각해서다. 인생을 묘파한 좋은 작품에서 희비는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함께 상존한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예전에도 그랬다. 말로네 식구는 동굴을 개조한 집에서 살았다. 어머니 하신타(페넬로페 크루스 분)가 준 초콜릿 빵을 먹으면서 그는 겨우 허기를 달랬다. 궁핍한 생활이었다.

그러나 그때를 고통의 나날이라고만 보기는 어렵다. 말로의 입장에서 이때는 영광의 시간이기도 했다. 그는 똑똑한 아이로 칭찬받았다. 문맹인 동네 청년에게 글을 읽고 쓰는 법을 가르쳤다. 말로는 야무진 꼬마 선생이었다. 일방적으로 주기만 한 것은 아니다. 그를 통해 얻은 것도 있다. 바로 에로스의 열병이었다. 말로는 혼곤히 앓으며 난생처음 빛나는 아름다움을 느꼈다. 이처럼 고통과 영광은 언제나 같이 있다. 그의 삶만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