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은 떠도는 것 자체를 즐기는 유목민이 아니다. 목적은 정착이다. 어딘가에 머물러 살기 위해 그들은 지금 여기를 지나치려 한다. 그러나 발목을 잡힌다. 타국으로 가려고 이곳에 왔으나, 이곳을 떠나는 일은 지극히 어렵다.
이 작품에서 유럽인들은 아메리카로 이주하려고 한다. 독일군의 위협이 커져서다. 프랑스 파리까지 점령한 독일군을 피해 사람들은 항구 도시 마르세유로 모여든다. 반체제 인사 게오르그(프란츠 로고스키 분)도 그중 한 명이다.
그는 어쩌다 보니 탈출을 계획하게 됐다. 반체제 인사라고는 하지만, 게오르그는 엉겁결에 편지 전달 및 동료 피신 임무를 떠맡아 마르세유까지 왔다. 임무는 달성하지 못했다. 편지의 수신인은 자살했고, 동료도 부상을 입어 숨을 거뒀다. 그럼 이제 나는 무엇을 해야 하나. 고민하던 차에 그는 새로운 사실과 신비한 사람을 알게 된다.
먼저 게오르그가 알게 된 새로운 사실은 그의 신분이 바뀌었다는 것이다. 게오르그를 편지의 수신인으로 착각한 미국 영사는 외국으로 갈 때 필요한 통과 비자를 순순히 내어 준다. 마르세유로 온 사람들이 간절히 갖기를 원하지만 아무나 가질 수 없는 통과 비자를 그는 거저 얻었다.
그 다음 게오르그가 알게 된 신비한 사람은 마리(폴라 비어 분)다. 마리가 신비한 사람으로 여겨지는 까닭은 게오르그가 어디를 가든 그 앞에 자꾸 그녀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나중에 밝혀지지만 그것은 게오르그가 지닌 편지의 수신인과 관련 있다.
부쳐졌으나 수취인 부재로 전할 수 없게 된 편지는 통과 상태의 운명에 빠져든 셈이고, 이것은 ‘트랜짓’에 나오는 출발했으나 통과 비자가 나오지 않아 그곳에 도착할 수 없게 된 사람들의 처지와 고스란히 겹친다. 물론 게오르그에게는 통과 비자가 있다. 언제라도 이곳을 떠날 수 있다는 말이다. 그렇지만 아메리카에 입성한다고 한들 그가 통과 상태를 벗어났다고 할 수 있을까.
감독 크리스티안 펫졸드는 그렇다고 확언하지 않는다. 이 작품의 원작 소설 ‘통과 비자’(1944)를 쓴 안나 제거스도 마찬가지다. 어떤 곳이나 때를 거쳐 간다는 의미에서 통과는 결국 죽음으로 귀결되는 모든 삶에 대한 은유니까. 그리고 거기에 ‘비자’의 속성이 덧씌워져 문제는 더 심화된다.
20세기 통과 세계의 아포리아(해결 방도를 찾을 수 없는 난관)를 다룬 ‘트랜짓’의 주제 의식은 21세기에도 유효하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