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에밀리 브론테의 ‘폭풍의 언덕’은 무성영화 시절부터 지금까지 수없이 영화화됐다. 그러나 윌리엄 와일러의 1939년 버전이 여태 정수로 남아 있을 정도로 성공적인 영화화는 쉽지 않다. 거장 루이스 브뉴엘과 자크 리베트도 영화화에 도전했으나, 그들의 다른 영화에 비해 높이 평가받지 못했다. 원작의 이야기만 따라가면 어릴 적 사랑한 여자의 변심을 복수로 되갚는 옹졸한 남자의 이야기에 그치기 십상이다. 안드레아 아널드는 고집 세고 자존심이 강했던 노예 출신 흑인 소년 히스클리프가 정념과 배신 탓에 복수에 미쳐 가는 과정에 집중한다. 그를 통해 영화는 한밤에 미치도록 글을 써 나갔을 브론테의 영혼과 진심에 도달한다. 미치광이이자 악마로 묘사되는 히스클리프는 영화에서 외로운 짐승으로 그려진다.

마이크 리와 켄 로치를 이을 것으로 기대되는 영국의 신예 아널드는 이번 영화에서 트레이드마크인 사회적 리얼리즘을 저만치 밀쳐 둔다. 대신 영국영화의 또 다른 미래 앤드루 쾨팅이 ‘이 더러운 땅’에서 시도한 방식을 도입한다. 18세기 초엽 요크셔 지방의 황야 가운데 자리한 집에 이르는 길은 온통 지저분하고 질퍽한 흙 천지다. 아널드의 첫 목표는 시대극이 아니라 시공간을 재현하는 데 있다. 그러한 공간을 재창조할 때, 주인공 히스클리프의 심리에 제대로 다다를 수 있다고 판단한 듯하다. 비는 맹렬하게 대지를 두드리고, 바람은 머리카락을 헤치고 지나가고, 산악지대의 청명한 공기와 비릿한 사람 냄새가 주변을 맴돈다. 물성의 전달이 이렇게 탁월한 영화는 드물다.

아널드는 이미지로 말하는 감독이다. 히스클리프가 광기 속에서 파멸하는 과정은 이야기된다기보다 강렬한 이미지들로 표현된다. 혹시 고전적인 드라마와 전통적인 이야기하기 방식을 원한다면 아널드 버전 ‘폭풍의 언덕’은 피해야 한다. 영화가 끝나면 머릿속에 남는 건 이미지뿐이다. 방황하는 소년이 대지에 누워 빗물이 귓속으로 들어가도 꿈쩍하지 않는 모습, 돌아온 히스클리프와 캐서린이 정원에서 재회할 때 주변의 자연이 빚는 아름다움 등은 지워지지 않을 이미지들이다. ‘폭풍의 언덕’의 이미지는 슬픔을 자아내도록 사용된다. 연약한 짐승을 잔혹하게 대하던 소년이 어른이 되어 같은 행동을 주변인에게 되풀이하는 순간 가슴이 저려 온다. 결국 영화는, 히스클리프가 복수에 환장한 악마가 아닌 슬픔에 빠진 인간이라고 말한다.

아널드는 전작 ‘피쉬 탱크’에 이어 1.33:1 화면 비율을 설득력 있게 구사한다. 그녀는 요즘 거의 사용되지 않는 스탠더드 화면 비율이 인물 심리를 담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지 증명해 보인다. 스탠더드 화면 비율은 그녀 특유의 ‘들고 찍기’와 함께 인물의 코앞까지 접근해 심리를 읽는다. 온갖 신경을 곤두세워 반응하는 카메라는 나락에 떨어져 괴로워하는 두 인물의 심리 속을 파고든다. 빅토리아 시대의 소설은 21세기를 사는 여성 감독과 만나 새로운 살과 피를 받았다. 무대를 현대 캘리포니아로 옮겨 록 뮤지컬로 완성한 MTV 버전 따위는 아널드 버전의 신선함에 비할 바가 못 된다. 아널드의 ‘폭풍의 언덕’은 발간 당시 사람들이 느낀 충격과 놀라움의 세계로 인도한다. 고전으로의 훌륭한 초대이며, 사소한 이질감의 극복 외에 이 초대를 거부해야 할 이유는 없다. 28일 개봉.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