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널드는 이미지로 말하는 감독이다. 히스클리프가 광기 속에서 파멸하는 과정은 이야기된다기보다 강렬한 이미지들로 표현된다. 혹시 고전적인 드라마와 전통적인 이야기하기 방식을 원한다면 아널드 버전 ‘폭풍의 언덕’은 피해야 한다. 영화가 끝나면 머릿속에 남는 건 이미지뿐이다. 방황하는 소년이 대지에 누워 빗물이 귓속으로 들어가도 꿈쩍하지 않는 모습, 돌아온 히스클리프와 캐서린이 정원에서 재회할 때 주변의 자연이 빚는 아름다움 등은 지워지지 않을 이미지들이다. ‘폭풍의 언덕’의 이미지는 슬픔을 자아내도록 사용된다. 연약한 짐승을 잔혹하게 대하던 소년이 어른이 되어 같은 행동을 주변인에게 되풀이하는 순간 가슴이 저려 온다. 결국 영화는, 히스클리프가 복수에 환장한 악마가 아닌 슬픔에 빠진 인간이라고 말한다.
아널드는 전작 ‘피쉬 탱크’에 이어 1.33:1 화면 비율을 설득력 있게 구사한다. 그녀는 요즘 거의 사용되지 않는 스탠더드 화면 비율이 인물 심리를 담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지 증명해 보인다. 스탠더드 화면 비율은 그녀 특유의 ‘들고 찍기’와 함께 인물의 코앞까지 접근해 심리를 읽는다. 온갖 신경을 곤두세워 반응하는 카메라는 나락에 떨어져 괴로워하는 두 인물의 심리 속을 파고든다. 빅토리아 시대의 소설은 21세기를 사는 여성 감독과 만나 새로운 살과 피를 받았다. 무대를 현대 캘리포니아로 옮겨 록 뮤지컬로 완성한 MTV 버전 따위는 아널드 버전의 신선함에 비할 바가 못 된다. 아널드의 ‘폭풍의 언덕’은 발간 당시 사람들이 느낀 충격과 놀라움의 세계로 인도한다. 고전으로의 훌륭한 초대이며, 사소한 이질감의 극복 외에 이 초대를 거부해야 할 이유는 없다. 28일 개봉.
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