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10년만에 들고나온 19집 앨범 ‘헬로’ 대박… 세대통합 아이콘으로 떠오른 ‘가왕’ 조용필

“끝없는 도전이죠. 그것이 아니었다면 아마 이 자리에 있을 수 없었을 겁니다. 저는 늘 새로운 음악을 추구해 왔습니다. 나이 먹은 것은 인정해도 내 음악은 늙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죽을 때까지 바둥거리면서 도전할 겁니다.”

서울 서초구 서초동 YPC 프로덕션에서 만난 가수 조용필. 새 앨범이 젊은 감각의 음악이라는 세간의 평가에 대해 그의 생각은 달랐다. 그저 ‘젊은 음악’이 아니라 “내가 좋아하고, 하려고 마음먹었던 음악”이라고 말했다.<br>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10년 만에 발매한 19집 앨범 ‘헬로’로 세대 통합의 아이콘으로 떠오른 ‘가왕’ 조용필(63). 초등학생부터 중장년층까지 전 세대를 아우르는 인기로 ‘국민가수’의 저력을 다시 한번 발휘하고 있는 그에게 45년 가수 생활의 신념을 묻자 1초의 망설임도 없이 이렇게 대답했다.

지난 22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 YPC 프로덕션 연습실에서 만난 그는 신드롬의 중심에서 초연히 비켜 서 있었다. 오는 31일부터 새달 2일까지 서울 올림픽공원 내 체조경기장에서 열리는 전국투어 콘서트 연습에만 매달리고 있었다. “요즘같이 공연을 앞두고 있는 때는 매일 연습을 거르지 않습니다. 저음, 중음, 고음, 가성을 점검하고 소리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다듬는 거죠. 가수라면 음역대를 확실하게 낼 수 있어야 하니까요.”

그는 ‘대박’이라는 세간의 말에 소년처럼 쑥스러워했다. 선공개한 ‘바운스’와 타이틀곡 ‘헬로’는 각종 온라인 음원 차트를 석권했고, 20여년 만에 TV가요 프로그램 1위를 차지했다. “(음반을 준비할 때) 10위권 안에만 들면 대성공이라고 생각했다”는 그가 스스로 꼽는 인기 비결은 뭘까.

“10년 만에 나온 데 대한 호감도 작용했겠지만 10~30대까지는 제 이름은 알아도 노래를 모르는 사람이 많잖아요. 그 세대에게 저는 신인이나 마찬가지고 리듬이나 소리, 장르가 요즘 음악 패턴과 다른 게 오히려 흥행 요인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조용필<br>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록과 팝에 기반을 둔 그의 새 앨범은 음악이 경쾌하고 젊은 감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래서 한국의 ‘한’(恨)을 대변하고 철학적 메시지를 전했던 조용필을 기억하는 기성 세대에게는 다소 가볍게 느껴진다는 의견도 있었다. “내가 좋아하고, 하려고 마음먹었던 음악입니다. 들리기에는 가벼워도 무게는 오히려 옛날보다 더 무거워졌어요. 화음이나 악기가 1980년대에 비해 3배 이상 들어갔죠. 예전에는 그것을 드러내려고 했지만 이번에는 속으로 숨겼어요. 그래서 겉으로는 간결하게 들려도 믹싱하는 데 시간은 아주 많이 걸렸죠. 아마 좋은 스피커로 음악을 크게 들으면 다 들릴 겁니다.”

그는 ‘심장이 바운스 바운스 들릴까봐 겁나’(바운스), ‘네게 빠져들어 정신 잃기 직전이야 좋아한다 말해’(헬로) 등 다분히 젊은 취향의 가사를 부를 때도 “전혀 민망하지 않았다”고 했다. “제 자신과 연관시켜 노래를 부른 적이 거의 없어요. 단지 가사가 곡의 분위기와 어울려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하나의 노래는 멜로디, 리듬, 가사, 편곡의 비중이 다 맞아야 하거든요. 1980년대는 ‘한’의 정서가 많았지만 요즘은 그렇지 않잖아요. 그래서 쉽고 경쾌한 곡을 만들었는데 어렵고 멋있는 가사만 가져오더라고요. 청바지에 캐주얼 티셔츠를 입어야 하는데, 검은 턱시도가 계속 오는 것처럼요. 물론 창법도 달라졌죠. 예전에는 흐느끼듯 부른 적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내지르기보다는 조금 모자란 듯 불러서 많이 들어도 질리지 않도록 했어요. 멋부리지 않고 정박자를 지키면서 교과서적으로 불렀죠.”

아무리 인기가 치솟아도 대중과 만나는 그의 원칙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다. 수십억원대의 CF 러브콜이 쏟아지고 TV 프로그램 섭외가 쇄도하지만 팬들을 공연장에서만 만나겠다는 철학이다. “TV에 나가지 않은 덕분에 얼굴이 덜 알려져 얻은 자유가 너무 좋아요. 오직 제 음악을 통해서만 팬들을 만나고 싶어요.”

올해로 데뷔 45주년. 그는 잠실 올림픽주경기장·평양·뉴욕 라디오 시티홀에서의 공연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평양 공연(2007년) 때 배로 운반한 통에 공연 기자재도 많이 파손됐고 폭발물 검사를 받느라 리허설 시간도 제대로 못 갖고 공연을 했다”고 회상하면서 “육로로 편히 들어가 평양에서 공연할 수 있는 기회가 다시 왔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삶의 고비에서 그를 지탱해 준 유일한 버팀목은 음악이었다. 2003년 부인 안진현씨와의 사별로 무릎이 꺾일 듯 좌절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내게 그런 일이 생길 거라고는 상상도 못했고 거의 3년간은 기력을 찾을 수가 없었어요. 그때도 음악은 놓지 않고 있었죠. 음악에 더 열심히 매달렸고, 그러다 보니 외롭다고 느낄 틈이 없었던 것 같네요.”

그는 이번 앨범을 해외 유명 작곡가들과 함께 만들었다. 지금 작업 중인 20집도 국적과 신인, 기성 가리지 않고 참여시킬 계획이다. 그의 가수 이력에 마침표가 찍히는 순간은 언제일까. “건강한 모습으로 실망을 주지 않을 때까지”라고 했다.

“음악은 내 생명이고 음악이 잘못되면 내 생명이 끊기는 겁니다. 나는 가족도 자식도 없고 혼자인데 다른 욕심은 없어요. 오로지 음악에만 모든 것을 걸어요. 내 자신의 기록과 역사를 만들어 갈 뿐입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