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데뷔는 그의 노력과도 무관치 않다. 원작자인 빅토르 위고는 왜 이 작품을 썼고 무엇을 말하려 했는지, 작품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지 몇 날 며칠 궁리했다. 프랑스 배우들과 국내 배우들의 공연 장면을 보면서 콰지모도의 폭넓은 음역을 어떻게 구현해야 할지도 고심했다. “어떻게 하면 좀더 노래를 잘할 수 있을지, 어떻게 해야 콰지모도가 돼 그의 모든 것을 무대에서 보여줄 수 있을지, 관객분들이 제 노래와 연기를 이질감이 없이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받아들이게 할 수 있을지 고민을 많이 했어요.”
데뷔작으로 대형 작품의 주역을 꿰차 부담감도 컸다. “저보다 먼저 뮤지컬에 데뷔한 선후배 가수들에게 조언을 구했더니 모두가 ‘부담 갖지 말고 편하게 하라’고 말씀해 주시더군요. 근데 부담을 갖지 않을 수 없죠. 그간 뮤지컬에 관심이 많았어도 이렇게 큰 작품으로 시작하게 될 거라곤 생각지 못했으니까요. 콘서트는 제가 책임지면 되지만 뮤지컬은 저 하나로 끝나는 게 아니라서 부담감이 더욱 클 수밖에 없죠. 주위 시선도 ‘기대 49, 우려 51’ 정도 되지 않았을까요.”
가수와 뮤지컬 배우는 확연히 다르다고도 했다. 가수는 노래할 때 자신이 주인공이 돼 ‘나라면 그런 상황에선 어떤 감정이었을까’를 생각하면 되지만 뮤지컬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노래할 땐 제 과거 경험을 토대로 이런 감정으로 부르면 되겠다는 느낌이 와요. 근데 뮤지컬은 제가 아니라 맡은 배역, 즉 콰지모도 입장이 돼 그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노래를 불러야 하더군요. 카메오로 잠깐 출연한 적은 있지만 연기를 제대로 해 본 적이 없어 쉽지 않았어요. 신선하면서도 많이 힘든 부분이었죠.”
그는 “감동을 주는 배우가 되고 싶다”고 했다. “뮤지컬이든 대중가요든 예술적 관점에서 본다면 제가 부르는 노래, 제가 펼치는 퍼포먼스가 사람들에게 감동을 줘야 한다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사람들의 공감을 이끌어내야 가수든 뮤지컬 배우든 생명력을 가질 수 있으니까요.”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