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KBS2 5일 오전 ‘사랑의 가족’

베토벤이 청각 장애를 겪으면서도 명곡을 만들어냈 듯 청각을 잃었음에도 소리가 주는 느낌과 울림을 기반으로 소리를 다루는 사람들이 있다. 북 악기장 임선빈(65)씨는 청각장애인이지만 54년 동안 북을 만드는 일에 매진했다. 장애인 전문 프로그램인 KBS 2TV ‘사랑의 가족’은 5일 오전 11시 20분에 북을 향한 그의 가슴 뭉클한 외길 인생을 조명한다.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30호 악기장에 지정된 북 공예가 임선빈씨는 양쪽 귀가 들리지 않는 청각장애인이지만, 북의 진동과 울림을 느끼며 북을 만든다.<br>KBS 제공<br>
임씨는 오른쪽 귀의 고막이 파열돼 청력을 잃은 뒤 왼쪽 귀의 청력도 서서히 사라졌다. 지금은 왼쪽 귀에 보청기를 끼워 일상 생활을 하고 있지만 북을 만들 때는 반드시 보청기를 뺀다. 북을 치면서 나오는 진동과 울림을 손끝으로 느끼며 음을 잡는 것이다.

그는 어린 시절 소아마비를 앓아 한 쪽 다리까지 불편하다. 그는 이처럼 중복장애를 가진 몸을 이끌고 1988년 서울올림픽 북, 청와대 춘추관 북, 통일전망대 북, 백담사 법고 등의 제작에 참여하며 활발하게 활동했고, 지난 1999년에는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아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30호 악기장에 지정되기도 했다.

그가 북을 접하게 된 것은 가난과 장애 때문이었다. 어린 시절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가족들이 모두 뿔뿔이 흩어지면서 당시 부랑인 자활 단체에서 넝마주이로 생활했다. 배고픔을 이기지 못하고 탈출한 그는 무작정 전남 순천으로 향하던 중 우연히 북공예의 대가 고(故) 황용옥을 만났다. 밥을 먹을 수 있다는 말에, 그는 황용옥의 북공방에 들어가 북을 만드는 일을 시작했고 박일오·박균석 선생에게서도 북 기술을 전수받았다. 장애 탓에 멸시와 냉대를 받기 일쑤였지만 그럴수록 그는 북에 매달렸다. 북 줄을 잡고 가죽을 당기면서 가슴 속의 한을 풀어낼수록 북은 더 깊은 울림을 냈다.

지금 임씨는 북 만드는 기술을 아들 임동국(30)씨에게 가르치고 있다. 아들이 아버지의 뒤를 잇는 일이 쉽지만은 않지만 임씨 부자에게 북소리는 하나의 업이 됐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