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KBS 파노라마 6일부터 2회… 예술·역사적 궤적 추적

동서양의 예술을 아우르는 석굴암은 불교 미술의 정수로 손꼽힌다. 국보 제24호인 동시에 1995년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이기도 하다. 그러나 8세기 중반 신라 경덕왕 때의 대상(大相) 김대성이 전생의 부모를 위해 지었다는 것을 제외하면 일반인들이 아는 것은 많지 않다.

석굴암은 동서양의 문화가 종합된 불교 미술의 정수다. 그 바탕에는 ‘모든 것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부처의 가르침이 자리 잡고 있다.<br>KBS 제공
KBS 1TV ‘파노라마’는 6일과 13일 밤 10시 2회에 걸쳐 석굴암을 탐색한다. 본존불이 왜 소라 껍데기 모양의 머리를 하고 있는지, 땅을 향해 있는 손가락은 어떤 의미인지, 한옥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석굴 사원과 돔형 천장은 어디에서 왔는지 등 석굴암 안과 바깥의 예술적·역사적 배경을 들여다본다. 제작진은 총 길이 1만 2000㎞에 이르는 실크로드의 종착점이 석굴암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인도에서 시작해 2500년 가깝게 이어진 불교 역사의 정수가 석굴암이라는 생각이다.

제작진은 먼저 석가가 깨달음을 얻은 보드가야와 석가의 열반지 쿠시나가르를 찾는다. 석가는 보리수나무 아래에서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기면 저것이 생긴다. 이것이 없으면 저것이 없고, 이것이 멸하면 저것도 멸한다”는 깨달음을 얻는다. 제작진은 ‘모든 것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석가의 가르침(緣起法)이 불교의 확장과 계승, 석굴암의 미적 형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추적한다.

방송은 석굴암에 어떻게 서양 예술이 접목되었는가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도 밝힌다. 석가의 열반 직후 인도에서는 부처를 형상화하는 것을 금기시해 불상을 만들지 않았지만 알렉산더 대왕이 동방 원정에 나서면서 무불상 시대는 깨지게 된다. 아프가니스탄의 아이하눔에서 발견된 불상들은 불교가 헬레니즘 문화를 받아들였음을 보여준다. 프랑스의 제마리아라이 타르즈 교수가 부처의 호위무사상에서 그리스 신화의 영웅 헤라클레스의 모습을 발견한 것도 비슷한 예다. 제작진은 또 불교 수행자들이 왜 석굴이라는 양식을 만들었는지, 이러한 석굴이 어떤 과정을 거쳐 석굴암의 돔형 천장으로 구현되었는지 등도 살펴본다.

배경헌 기자 baenim@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