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들은 가끔 궁금해진다. 해맑고 순수해 보이는 초등학생 아이는 대체 어떤 생각을 품고 사는지 말이다. 어떤 눈으로 세상과 부모를 바라보는지, 그 작은 머릿속에 온통 관심이 집중되는 것이다.
프로그램은 각각 학교와 놀이, 사춘기, 공부, 부모 등 5가지 키워드를 담고 있다. 1부 ‘나는 늘 주인공을 꿈꾼다-교실 속 아이들’편에선 설문을 통해 드러난 아이들의 모습을 소개한다. 아이들 대부분은 “학교에 가는 것이 즐겁다”고 답했다. 학교가 좋은 첫 번째 이유는 ‘친구’(95.1%·복수응답 가능)였다. ‘친구가 있어 재미있게 놀 수 있다’는 답변이 많았다. ‘선생님’도 빼놓을 수 없었다. ‘선생님과 대화가 잘된다’(79.4%)거나 ‘선생님이 있어 학교에 가고 싶다’(61.4%)는 의견이 많았다. 우려와 달리 교사에 대한 신뢰도와 호감도는 높았다.
설문은 아이들의 인정받고 싶은 욕망에 대해서도 드러냈다. ‘나는 학급 안에서 주목받고 있다’고 답한 어린이는 무려 3명 중 2명꼴(66%)이었다. ‘주목받고 있지 못하다’(34%)고 말한 아이들조차 주목받고 싶은 욕망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됐다.
아이들은 실제 교실에서 주목받고 있는 친구는 이른바 ‘엄친아’라고 입을 모았다. 피아노나 기타를 잘 다루며 공부·노래·운동을 잘하는 아이들이 선망의 대상이었다. 개그맨을 흉내내거나 수업시간에 엉뚱한 질문을 남발하고, 욕설을 내뱉는 것조차 주목받기 위한 행동으로 밝혀졌다.
2부 ‘외롭고 심심하다, 아이들의 놀이’는 온종일 제대로 된 놀거리를 찾아 헤매는 아이들의 일상을 담았다. 응답자의 61%가 ‘충분히 잘 놀고 있다’고 답했지만 대부분 컴퓨터 앞에 앉아 있거나 빈둥거리면서 시간을 허비했다. 하루 중 유일하게 자유로운 놀이시간은 점심 시간뿐이었다. 초라한 ‘놀이’의 현주소였다.
3부 ‘나도 날 모르겠어요, 13세 사춘기’와 4부 ‘공부 못해서 죄송합니다’, 5부 ‘부모가 멀어진다, 초등 6학년’에선 고학년 교실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아이들의 속내를 털어놓는다. 성숙한 몸과 어린 마음이 교차하며 성적 때문에 죄책감부터 배우는 아이들, 부모와 소통하지 못하는 고민 등에 대해 이야기한다. 아이들은 “저도 이제 컸어요. 제 말 좀 들어주세요”라고 말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