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피노키오’는 기자를 통해 언론의 윤리를 되묻는다. 청춘 성장 멜로라는 옷 안에는 올바른 기자정신을 찾아가는 신입기자들의 고민이 담겼다. ‘모래시계’ 이후 세대의 이야기를 표방한 KBS ‘힐러’는 기자라는 직업의 세계를 본격적으로 다룬 드라마는 아니지만, 지상파 방송사의 스타 기자 ‘김문호’를 통해 약자의 편에 서는 언론인의 모습을 그린다.
드라마가 자꾸만 불편한 현실을 상기시키는 건 지금의 사회상에 대한 자연스러운 반영으로 보인다. 이창섭 MBC 드라마부국장은 “사회의 민낯을 환기시키면서 한편으로는 정의를 추구하는 사람들이 있어 희망이 남아 있다는 이야기를 하려 한다”고 말했다. 또 판타지나 로맨스보다 tvN ‘미생’처럼 현실 밀착형 드라마가 각광받는 트렌드와도 맞물린다. 김영섭 SBS 드라마본부장은 “최근에는 지나친 판타지가 시청자들의 반감을 사는 대신, 현실성에 기반해 공감을 주는 드라마가 더 소구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들 드라마가 마냥 시청자들의 정의감에만 호소하고 있는 건 아니다. 사실성에 충실해 실제 우리 사회의 이면을 들춰보는 듯한 느낌을 주고 있다. ‘오만과 편견’과 ‘펀치’는 검찰 조직의 생리를 치밀하게 묘사한다. ‘오만과 편견’에서는 검찰 ‘윗선’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중요한 사건의 수사 방향이 좌우되며 수사를 위해서라면 조직 내에서의 정치도 필요한 현실을 그린다. ‘펀치’에서는 검찰총장이 검찰 내 주요 보직에 자기 사람을 심고, 이를 견제하는 법무부 장관과는 수사지휘권을 놓고 내밀한 신경전을 벌인다. 이는 작가들의 꼼꼼한 취재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오만과 편견’의 이현주 작가는 수개월에 걸쳐 극중 배경인 인천지검을 취재하고 현직 검사들을 인터뷰했으며, ‘펀치’의 박경수 작가는 SBS ‘추적자 더 체이서’(2012) 이전부터 ‘펀치’를 구상하고 검찰에 대한 취재에 매달렸다.
‘피노키오’는 사회부 기자들의 취재 과정을 사실감 있게 담는다. 캡(팀장)-1진-수습이라는 사회부의 구조와 ‘마와리’(출입처를 돌며 취재하는 일) ‘물 먹었다’(낙종했다)와 같은 기자들의 은어, 수습기자 교육과정 등을 그대로 재현한다. 취재한 사실들을 놓고 기사의 방향을 잡거나 보도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도 치밀하게 묘사된다. 반면 ‘힐러’는 방송기자가 뉴스 생방송 중 돌발 발언을 일삼고 인터넷 기자가 변장을 한 채 연예인의 사생활을 쫒는 등 기자에 대한 묘사에 사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는다.
실제 사건이나 최근의 사회 이슈를 극 속에 녹이기도 한다. ‘오만과 편견’에는 계약직 여직원 성추행 자살 사건과 고위층 별장 성접대 사건이 약간의 허구만 가미돼 등장하고, ‘펀치’에는 자동차 급발진 사고, 의약품 리베이트 등 끊이지 않고 발생해 세간의 이목을 끄는 사건들이 그려진다. ‘피노키오’에서는 주인공 기하명의 아버지인 소방대장이 무리한 화재 진압지시를 하고 혼자 도주한 것으로 언론에 보도됐으나 후에 현장에서 순직한 것으로 드러났다. 네티즌들은 이를 두고 1993년 서해 훼리호 사고에서 배를 탈출했다는 오명을 뒤집어썼던 선장의 이야기를 떠올리고 있다. 한정환 ‘피노키오’ 책임프로듀서는 “실제 있었던 사건들 중 극과 어울리는 것을 찾아 가공해 현실성을 부여하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