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7/24/SSI_20160724231658_V.jpg)
24일 오후 9시40분 방송된 종합편성채널 채널A ‘먹거리X파일’에서는 추어탕에 쓰이는 미꾸라지에 대해 알아봤다.
2012년 6월, ‘먹거리X파일’ 취재진이 ‘추어탕’에 담긴 미꾸라지의 유통 실체를 낱낱이 파헤쳤을 당시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중국산 미꾸라지를 수입하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약품을 첨가하는 실태가 확인됐던 것.
4년이 지난 오늘날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중국산 미꾸라지는 과연 안전할까. 그리고 중국산 치어를 국내 양어장에서 키운 ‘국내 이식산’ 미꾸라지는 과연 어떻게 키워지고 있을까. 제작진은 다시 한 번 미꾸라지 유통 실태를 밀착 점검했다.
이날 ‘먹거리X파일’은 식당에 미꾸라지의 원산지가 ‘국내산’이라고 나와 있을 때, ‘이식산’을 판매할 확률이 높다고 전했다.
제작진이 찾아간 식당엔 “100% 국내산 미꾸라지를 사용한다”고 쓰여 있었다. 식당 앞 수조에는 미꾸라지가 가득 담겨 있었다.
카운터 뒤에는 ‘국내산(이식산)’이라고 쓰여 있었다. 중국산 치어를 국내에서 3개월간 키우면 국내산 인증을 받을 수 있다.
현재 미꾸라지 1kg당 가격은 중국산 1만원, 이식산 1만3천원, 자연산 2만원~2만2천원 선이다. 가격만 보자면 중국산이 이식산보다 저렴했다. 수산시장 상인은 “원산지를 (국내라고) 써야 하니까 이걸(이식산) 쓰는 거다”고 설명했다.
임재현 박사(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는 “현재 우리나라 미꾸라지 소비량이 1만톤 정도 되는데, 그중 10%를 우리나라에서 생산하고 90%는 수입한다”며 “자연산은 1% 미만이다”고 말했다.
2012년 ‘먹거리X파일’에서는 자연산 미꾸라지로 정성 들여 끓여 낸 ‘착한 추어탕 식당’을 찾아냈다. 추어탕의 인기를 반영하듯 ‘먹거리X파일’ 홈페이지에는 이후에도 “이곳도 착한 추어탕 집이다” 는 제보가 이어졌고 제작진은 시청자가 추천한 식당을 중심으로 2016년표 ‘착한 추어탕 집’을 찾았다.
사진=‘먹거리X파일’ 캡처
연예팀 seoule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