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방송가에서는 ‘우영우’의 인기를 두고 작품만 좋으면 어떤 채널에 편성이 되든 ‘대박’을 터트릴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다는 것이다.
‘우영우’는 대중들에게 낯선 ENA 채널에 편성되면서 대중적인 인기를 얻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
1회 시청률은 예상대로 0.8%를 기록하며 저조한 성적을 거뒀다. 그러나 9회만에 15.8% 기록을 세웠다.
‘우영우’의 성공은 시청자들의 변화된 시청 행태를 드러낸다. 시청자들은 소문난 작품을 능동적으로 찾아본다.
최근 몇 년간 넷플릭스를 필두로 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를 경험하면서 작품을 골라보는 데 익숙해진 것이다.
TV에서 현재 방영 중인 드라마 말고도 볼 수 있는 콘텐츠가 무한대에 가깝게 많아지자 시청자들의 작품을 보는 눈도 올라갔다.
OTT마다 제공되는 작품이 다르다 보니 플랫폼을 오가며 자신의 취향에 맞는 작품을 찾아서 보는 데도 거리낌이 없어졌다.
같은 맥락에서 TV도 특정 채널에 대한 선호도가 약해졌고, 지상파, 종합편성채널, 케이블이라는 경계도 모호하다.
‘우영우’의 성공은 방송사에서 제작사로 힘이 쏠릴 가능성도 제시했다.
PD들이 방송사를 나가 제작사를 차리기 시작하던 2000년대부터는 외주제작사라는 개념이 등장하면서 방송사와 제작사가 공동 투자로 드라마를 만들었지만, 편성권을 쥔 방송사의 입김이 셌다.
최근에는 제작사가 드라마를 사전 제작하고, 방송사는 편성만 하는 방식으로 제작 환경이 변했다.
계약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작품에 대한 원천 IP(지식재산)를 오롯이 제작사가 가져가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우영우’는 제작사 에이스토리가 원천 IP를 갖고 있다.
에이스토리가 ‘우영우’ 웹툰, 뮤지컬 제작을 하고, 드라마에 나온 고래 굿즈(상품)를 팔 수 있는 것도 IP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강민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