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완이 이정수에게 보낸 문자. / 이정수 페이스북


SNS 남녀 화법차이, 확연히 달라..여성은 이모티콘-남성은 ○○○?

‘SNS 남녀 화법차이’

SNS 남녀 화법차이가 화제다.

7일 박선우 계명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가 현대문법연구에 게재한 논문 ‘SNS 모바일 텍스트의 언어학적 양성’에 따르면 SNS에서 남녀 화법차이는 이모티콘과 문장부호 사용량에서 확연히 드러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SNS 남녀 화법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페이스북의 댓글들을 성별로 각각 200건씩, 이를 다시 10대, 20대, 30대, 40대 이상의 연령대로 구분해 각각 50건씩 수집해 그 차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SNS 남녀 화법차이 텍스트 길이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이모티콘이나 문장부호와 같은 비언어적, 시각적 기호사용 빈도의 경우 여성이 더 높았다.

텍스트 길이는 남성이 평균 41.18바이트, 여성이 평균 41.61바이트로 글을 썼으며 이는 과거 스마트폰이 아닌 휴대전화로 문자메시지를 보낼 때 여성의 텍스트가 남성의 텍스트보다 길었다는 분석결과와 상반된다.

이에 대해 박 교수는 길이에 상관없이 한 건당 30원씩 문자메시지 이용료가 부과되던 환경과 달리, 요즘은 패킷 단위로 데이터 요금을 부과하거나 무제한 요금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은 정보를 전달하려고 노력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모티콘의 경우 페이스북 텍스트 한 건 당 남성은 평균 0.36자, 여성은 평균 0.90자를 사용했다. 여성이 남성보다 2.5배 많은 이모티콘 문자를 쓴 셈이다. !, ?, ∼, …와 같은 문장부호 역시 여성이 평균 2.15자씩 사용해 남성(1.37자)의 문장부호 사용량보다 1.6배 많았다.

성별과 연령을 동시에 구분했을 경우에는 20대 여성이 평균 1.58자로 이모티콘을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30대 여성이 평균 2.67자로 문장부호를 가장 빈번하게 사용했다.

반면 남성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SNS 화법 특징은 사투리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 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페이스북 사용자들의 글을 수집해본 결과 성별로는 남성이, 연령대별로는 20대가 지역어의 변이형을 자주 사용했다.

박 교수는 “정보 전달보다는 사교적 기능이 강한 SNS에서 여성이 감정과 느낌을 시각적으로 전달하려는 경향이 남성보다 강하다”며 “남성이 여성보다 지역어에 우호적이고, 여성이 남성보다 표준어 지향태도가 뚜렷하다”고 SNS 남녀 화법차이에 대한 분석을 내놨다.

SNS 남녀 화법차이를 접한 네티즌들은 “SNS 남녀 화법차이, 누가 봐도 딱 아는데”, “SNS 남녀 화법차이, 확연히 다르지”, “SNS 남녀 화법차이, 이모티콘에 집착하는 여자 많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사진=서울신문DB(SNS 남녀 화법차이)

뉴스팀 seoule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