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완이 이정수에게 보낸 문자. / 이정수 페이스북


7일 박선우 계명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가 현대문법연구에 게재한 논문 ‘SNS 모바일 텍스트의 언어학적 양성’에 따르면 SNS에서 남녀 화법차이는 이모티콘과 문장부호 사용량에서 확연히 드러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SNS 남녀 화법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페이스북의 댓글들을 성별로 각각 200건씩, 이를 다시 10대, 20대, 30대, 40대 이상의 연령대로 구분해 각각 50건씩 수집해 그 차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SNS 남녀 화법차이 텍스트 길이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이모티콘이나 문장부호와 같은 비언어적, 시각적 기호사용 빈도의 경우 여성이 더 높았다.

이모티콘의 경우 페이스북 텍스트 한 건 당 남성은 평균 0.36자, 여성은 평균 0.90자를 사용했다. 여성이 남성보다 2.5배 많은 이모티콘 문자를 쓴 셈이다. !, ?, ∼, …와 같은 문장부호 역시 여성이 평균 2.15자씩 사용해 남성(1.37자)의 문장부호 사용량보다 1.6배 많았다.

성별과 연령을 동시에 구분했을 경우에는 20대 여성이 평균 1.58자로 이모티콘을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30대 여성이 평균 2.67자로 문장부호를 가장 빈번하게 사용했다.

뉴스팀 seoule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