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까지 상품화, 괭이부리마을 쪽방촌 체험관 “가난하면 막 대해도 되냐” 마을사람들 항의

‘가난까지 상품화’

인천 동구청이 만석동 ‘괭이부리 마을’에 옛날 어려웠던 시절의 생활을 느껴볼 수 있는 체험 시설을 만들겠다고 밝혀 논란을 일으킨 가운데, 해당 구의회가 계획을 취소했다.

12일 인천시 동구에 따르면, 구는 지난달 중순 ‘인천시 동구 옛 생활 체험관 설치 및 운영 조례(안)’을 입법 예고했다. 해당 지역은 김중미씨의 소설 ‘괭이부리말 아이들’의 배경이 된 곳으로, 6·25전쟁 직후부터 피난민들이 모여 판잣집을 짓고 살면서 만들어진 쪽방촌이다.

조례(안)에 따르면, 옛 생활 체험관의 목적은 타지에서 부모와 함께 동구를 찾은 아이들에게 숙박의 기회를 제공해 옛 생활 모습을 경험토록 하는 것이다. 반드시 부모가 자녀를 동반해야 입실할 수 있고, 체험료(하루 숙박)는 1만원으로 책정됐다.

구는 첫 체험관을 인천에서 가장 오래된 쪽방촌인 만석동 괭이부리마을 안에 만들기로 하고, 현재 주민들의 사랑방으로 활용중인 2층짜리 주택을 일부 리모델링해 활용할 예정이다. 또 구는 이곳에 괭이부리마을의 옛 사진, 요강, 흑백 텔레비전, 다듬이 등 지역 거주 주민들의 생활현장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관광객들의 향수를 자극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구 관계자는 “요강, 흑백텔레비전, 다듬이 등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물품을 체험관에 비치할 것”이라며 “구도심의 특성에 맞는 체험관을 조성하면 자연스럽게 지역을 찾는 사람이 늘고 다른 관광지와도 연계해 지역 경제가 활성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괭이부리마을 주민들은 삶의 터전을 외부인들이 드나들며 들여다 보는 데 대한 상당한 반감을 드러내는 것으로 전해졌다. 주민들은 “구청이 가난까지 상품화해서 쪽방촌 주민들을 구경거리로 만들겠다는 얘기”라며 “요즘 들어 외지 사람들이 이곳에 찾아와 사진을 찍으며 집 안을 기웃거리는 일이 많아 다툼도 생긴다. 가난하게 살면 아무렇게나 막 대해도 되는 것이냐”고 항의했다.

마을 주민들은 지난 8일 동구의회를 방문해 구의원들에게 반대 이유를 설명하고 주민 160여명이 작성한 ‘괭이부리마을 옛 생활 체험관 반대 서명’을 전달했다.

논란이 거세지자 동구의회 복지환경도시위원회는 13일 상임위원회 회의를 열고 ‘인천시 동구 옛 생활 체험관 설치 및 운영 조례(안)’을 부결했다. 상임위원 5명은 회의 끝에 “주민 의견 수렴 절차에 부족함이 있었다”며 부결 이유를 설명했다. 이에 이 조례(안)은 자동 폐기됐다.

사진=채널 A 뉴스캡처(가난까지 상품화)

뉴스팀 seoule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