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까지 상품화, 괭이부리마을 체험관’

괭이부리마을 쪽방촌 생활체험관 추진과 관련해 가난까지 상품화한다는 비난이 일자 해당 구의회가 계획을 취소했다.

괭이부리마을은 한국전쟁 직후 피난민들이 모여 만들어진 쪽방촌으로, 소설 ‘괭이부리말 아이들’의 배경으로 유명하다.

괭이부리마을에는 360여가구 600여명이 살고 있다. 이 중 230가구 300여명이 쪽방 주민이다. 쪽방 거주자들은 공동 화장실을 쓰고 있으며, 건물이 낡고 기반시설이 부족한 상황이다.

12일 괭이부리마을 주민들에 따르면 구는 지난달, 괭이부리마을 생활 체험관 설립을 골자로 하는 조례안을 입법예고 했으며 오는 17일 구의회에 상정키로 했다.

구는 마을 사랑방으로 활용하고 있는 2층 주택을 6~70년대 생활공간으로 리모델링해 생활체험관을 만들 예정이다. 또 이곳에 흑백TV, 다듬이 등 당시의 물품들을 비치하고 자녀를 동반한 가족들을 대상으로 참가비(1만원)를 받을 예정이었다.

이곳이 관광지가 되면서 유동인구가 늘어나면 자연적으로 마을이 변화되고 발전될 수 있을 것 이라는 게 구의 입장이다.

그러나 주민들은 “가난까지 상품화 하려는 것이냐”며 반발하고 나섰다. 한 주민은 “괭이부리마을에는 가난한 삶을 이어가고 있는 주민들이 대부분이다”며 “생활체험관에 관광객이 머물게 되면 이 같은 모습이 낱낱이 공개돼 주민들이 불편할 것”이라고 토로했다.

마을 주민 160명은 지난 8일 체험관 건립 반대 서명서를 구와 구의회에 제출했다. 이에 인천시 동구의회 복지환경도시위원회는 13일 상임위원회 회의를 열고 가난까지 상품화 한다는 비난을 샀던 ‘인천시 동구 옛 생활 체험관 설치 및 운영 조례(안)’을 부결했다.

가난까지 상품화, 괭이부리마을 체험관, 가난까지 상품화, 괭이부리마을 체험관, 가난까지 상품화, 괭이부리마을 체험관 가난까지 상품화, 괭이부리마을 체험관

사진 = 방송 캡처 (가난까지 상품화, 괭이부리마을 체험관)

뉴스팀 seoule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