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미국 LA 폭발물 위협, “캠퍼스내 폭발물 은닉했다” 알고보니 거짓? 이메일 내용보니

‘미국 LA 폭발물 위협’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 교육청 산하 모든 공립학교들이 15일(현지시간) `캠퍼스 내 폭발물을 은닉했다‘는 내용이 담긴 이메일을 받고 수업을 중단, 일제히 휴교했다.

현지언론에 따르면, LA 교육청과 LA 경찰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LA 통합 교육구 공립학교들에 대한 폭발물 테러와 총격을 위협하는 이메일이 전날 밤 LA 교육위원에게 발송됐다”면서 “이날 오전 전자통신 수단을 통해 학교의 안전과 관련된 내용을 전달받았고, 그에 따라 안전이 확실해질 때까지 수업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문제의 이메일에는 LA 공립학교 캠퍼스에 폭발물이 든 백팩과 포장물을 숨겨 놨다는 주장이 담겨 있었다고 현지 매체 LA타임스 등은 보도했다.

경찰과 LA 교육당국은 테러 협박 메일을 수신한 뒤 논의를 거쳐 LA 소재 공립학교 900곳 이상과 차터스쿨 187곳을 전면 폐쇄했다. LA 교육청과 경찰은 “교육청 산하 모든 학교의 캠퍼스를 샅샅이 뒤지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달 초 캘리포니아주 샌버나디노 총격 사건을 고려해 이번 테러공격 위협을 심각하게 다루고 있다고 강조했다.

라몬 코르티네스 교육감은 “이번 위협은 이메일을 통해 전달됐으며, 캠퍼스를 구체적으로 특정하지 않았지만, 학교 여러 곳이 포함돼있다”면서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휴교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번 휴교 조치는 최근 뿐만 아니라 과거에 일어난 (테러) 사건들에 기반해 내린 조치”라면서 “사전 예방조치는 매우 중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르티네스 교육감은 “그동안 여러 번 위협 이메일이 교육청에 전달돼왔다”면서 “하지만, 이번 위협 이메일은 상당히 구체적이고 근거가 있었다”고 전했다.

LA 교육청과 경찰이 폭발물 위협 이메일의 IP 주소를 추적한 결과 독일 프랑크푸르트라는 사실이 확인된 것으로 알려졌다.

브래드 셔먼 연방 하원의원(민주·캘리포니아)은 “교육위원에게 전달된 이메일 전송자는 자신을 `지역 지하디스트(이슬람 성전주의자)와 협력하고 있는 극단적 무슬림’이라고 주장했다”고 말했다고 LA 데일리뉴스가 보도했다.

폐교령이 내려진 시간은 이른 아침으로 등교한 학생은 많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교육 당국은 미리 등교한 학생들이 모두 하교할 수 있도록 조처해 달라고 각 학교에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LA 교육청 산하에는 900여 개의 공립학교와 187개 차터스쿨이 소속해 있다. 학생 수는 70만여 명에 이른다.

한편, 미국 하원 정보위원회 소속 아담 쉬프 의원은 이번 LA 폭발물 테러 위협이 장난일 수 있다고 밝혔다.

쉬프 의원은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현재 수사 당국이 테러 협박 이메일이 어디서 발신된 것인지 정보를 모으고 있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쉬프 의원은 누군가 테러 목적이 아닌 LA와 뉴욕시 같은 대도시 학교들 사이 혼란을 일으키기 위해 이번 일을 꾸민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브래드 셔먼 캘리포니아주 민주당 하원 의원은 뉴욕타임스와 인터뷰를 통해 미국 LA 폭발물 위협 이메일 내용을 공개했다. 이슬람 신자인 이메일 발신자는 다른 지하디스트 32명과 함께 폭발물과 신경가스 등으로 과거 자신이 따돌림을 당했던 LA학교를 공격할 것을 예고했다.

하지만 신경 가스를 사용한다는 부분과 이슬람교의 신 ‘알라(Allah)’의 스팰링을 대문자로 표기하지 않은 점 등이 이메일의 신빙성을 낮춘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1000개 학교에 휴교령을 내려 64만 3000명의 학생들이 집으로 돌아가게 만든 교육부의 대처에 비판이 쏠리고 있는 상황이다.

윌리엄 브래튼 뉴욕시 경찰국장은 비슷한 테러 위협을 받고 신속히 거짓 정보라는 걸 파악 후 대처한 뉴욕시와 비교하며 LA의 대규모 휴교령을 “확인되지 않은 이메일 한통에 대해 수사국의 협조를 구하지 않고 50만 명이 넘는 아이들과 그 부모, 교통시설을 혼란에 빠뜨린 과잉 대응”이었다고 비판했다.

에릭 가세티 LA시장은 교육청이 연방수사국(FBI)의 협조를 구하지 않았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이어 미국 LA 폭발물 위협에 휴교령을 지시한 코딘스 교육감의 결정을 지지하며 “당시 이메일은 상당히 구체적이고 치밀했다”고 말했다.

코딘스 교육감은 과잉 대응이라는 비판에 “재빠르게 결정을 내렸어야 했다. 다른 가능성을 재고할 수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사진=뉴스 캡처(미국 LA 폭발물 위협)

뉴스팀 seoule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