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 먼저 성(性)의 주체에 관한 테마를 드러내 주는 것은 이사벨의 동생, 빅토르이다. 이 영화는 빅토르가 쌍안경으로 해변에서 선탠을 하는 이사벨을 훔쳐보는 장면부터 시작한다. 여기서 열일곱 소녀의 순결하고 아름다운 몸은 그녀 자신의 것이 아니라 타인의 욕망을 위해 대상화된 이미지일 뿐이다. 빅토르에 의한 관음증적 시선은 이사벨이 별장에서 자위를 할 때도 반복된다. 또한 사랑하지도 않는 남자와 첫 경험을 가질 때도 그녀는 객체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어느 순간 이사벨은 또 다른 자신이 이 광경을 보고 있음을 느끼고 성에 대한 수동성을 인식한다. 여름이 가고, 가을이 시작된 것이다.
이윽고 그녀는 자신을 원하는 남성들과의 잠자리를 통해 정체성을 획득한다. 돈이 목적이 아님에도 이사벨이 액수에 집착하는 것은 그것이 자신의 능동적인 성행위에 대한 가치이자 명분이기 때문이다. 돈벌이나 호기심·일탈과는 다른 이사벨의 매춘은 생소하고 비논리적이지만, 감독은 ‘열일곱’이라는 나이의 특수성을 강조함으로써 논리의 간극을 메워 넣는다. 이사벨이 야한 동영상을 보는 장면에서 바로 이어지는 랭보의 시는 열일곱 살이기에 가능한 여름 한철의 사랑을 노래하고 있다. 뜨겁고 강렬하지만 심각할 것이 없는 열일곱 살의 사랑처럼 이사벨은 별다른 갈등 없이 주변 사람들을 속여 가며 남자들과 관계를 맺는다. 그런 방식으로 그녀는 자신의 성을 소유하고, 이제 더 이상 카메라는 그녀를 대상화하지 않는다. 이렇게 이 영화의 매춘은 관객의 욕망을 위한 것이 아닌, 이사벨의 필요에 의한 수단이 된다.
그러나 겨울이 되자 이사벨의 은밀한 생활이 발각되면서 처벌이 내려진다. 성의 주체성을 부여하는 기제라고 해도 10대의 매춘은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녀는 충실히 상담을 받고 또래의 남자를 만나며 자신의 문제를 극복하는 듯 보인다. 그러나 계절의 순환 속에서도 과연 그녀가 과거로 회귀하지 않을 것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천재 혹은 악동이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니는 프랑수아 오종 감독은 네 개의 계절을 통해 이사벨의 변화와 성장을 표현함으로써 영화적 구조를 견고하게 세우고 있다. 여기에 각각의 계절이 동반하는 프랑수아즈 아르디의 노래들은 이사벨의 감정과 절묘하게 어우러진다. 절제된 플롯으로 차분한 분위기를 이어가는 가운데 시와 음악으로 포인트를 준 오종 식의 세련된 연출이 역시나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작품이다. 5일 개봉. 청소년 관람 불가.
윤성은 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