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소리 잃은 성악가 배재철씨 실화 그대로…진정성 있는 큰 울림

때론 잘 짜인 허구보다 현실과 맞닿은 실화가 더 진한 감동을 준다. 극장가에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다큐멘터리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도 그런 맥락의 영화다. 또 한편의 실화 영화가 가세했다. ‘더 테너 리리코 스핀토’는 최고의 자리에서 모든 것을 잃은 한 남자의 이야기다.


아시아 오페라 역사상 100년에 한번 나올 목소리라는 평가와 함께 유럽 오페라계를 주름잡았던 한국인 성악가 배재철이 영화의 실제 주인공. 그는 동양인으로는 갖추기 힘든 성량과 서정적인 섬세함으로 최고의 테너에게 주어지는 ‘리리코 스핀토’라는 찬사를 받으며 세계적인 오페라 스타로 승승장구한다.

하지만 “목소리는 신이 주신 재능이자 오페라 가수는 숙명”이라고 버릇처럼 말하던 그에게 받아들이기 힘든 시련이 닥친다. 2005년 새 오페라 무대를 준비하던 도중 갑상선암으로 쓰러진 것. 수술 과정에서 성대 신경이 끊겨 노래는커녕 말을 하기도 어려워진 그는 결국 목숨같이 여겼던 무대를 떠나야 했다.

삶의 의미를 모두 잃었던 그때, 배재철은 자신보다 그의 목소리를 더 아꼈던 일본인 음악 프로듀서의 권유로 성대 복원 수술을 받게 된다. 이전에 내던 목소리의 30% 수준으로 회복한 배재철. 또 다른 시련이 재기 무대에 서려는 그의 발목을 잡지만 최고가 아닌 최선의 목소리로 진심을 담아 노래하고 싶다는 내면의 깨달음을 얻는다.

배재철의 실화를 다룬 TV 다큐멘터리를 보고 2010년부터 영화 기획에 들어갔다는 김상만 감독은 “스토리에 맞는 오페라 아리아를 등장시켜 뮤지컬 같은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다. 세르비아 왕궁에서 150여명의 실제 오페라 인력이 동원된 ‘투란도트’ 등 웅장한 오페라 음악이 돋보이는 영화다. 목소리를 되찾은 주인공이 수술대 위에서 처음 노래를 부르는 장면, 관객과 함께한 그의 눈물 어린 재기 무대 등이 감동 짙은 음악영화로서의 미덕을 충분히 보장한다.

배재철 역의 유지태는 1년간 하루 4시간씩 테너에게 훈련을 받고 7곡의 오페라곡을 이탈리아어로 외우는 등 오페라 가수의 발성·호흡·자세·표정 등을 연습해 실감나는 연기를 펼쳤다. 그는 “배재철의 전성기 때 음악을 들으며 목소리를 연구했고, 다치기 전과 후의 목소리를 구분할 정도가 됐다”면서 “사회적으로 어려운 때에 진심어린 우정과 사랑으로 어려움을 극복하는 이야기가 관객들에게 따뜻함을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드라마틱한 반전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영화로 조용히 한 해를 돌아보고 희망과 용기를 얻고자 하는 관객에게는 만족감을 줄 만하다. 31일 개봉. 12세 관람가.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