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50편 기증받아 사료 공백 메워

“그때가 4월이었나? 광릉 앞이었던 것 같아요.”(정진우 감독)

“아우, 비 오고 바람 부는데 미치겠더라고요. 속으로 ‘정진우 죽일 놈’하면서 찍었지.”(배우 김지미)

“저 영화는 계속 발굴이 안 돼 영영 없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었는데, 나왔네요.”(임권택 감독)

7일 한국영상자료원의 ‘미보유 극영화 발굴 공개 언론시사회’에 참석한 임권택 감독(오른쪽 다섯번째부터), 배우 김지미, 정진우 감독.<br>연합뉴스
7일 오전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만난 정진우(77) 감독과 김지미(75)가 1963년 만든 영화 ‘외아들’을 보면서 촬영 당시 얘기로 수다꽃을 피웠다. ‘외아들’은 정 감독이 24살이던 때 최무룡, 김지미, 황정순 등 당대 최고의 배우들을 캐스팅해 만든 감독 데뷔 작품이었다. 곁에서 임권택(79) 감독은 5분 남짓 짧게 소개된 ‘전장과 여교사’(1965) 필름을 보면서 머쓱한 표정을 지으며 말을 거들었다. 임 감독은 이내 “감독으로서 부끄러운 것은 부끄러운 것이고 당시 한국영화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가 될 것”이라며 밝게 웃었다.

한국영상자료원은 이날 ‘외아들’, ‘전장과 여교사’를 비롯해 ‘잊을 수 없는 연인’(이만희 감독, 1966), ‘만선’(김수용 감독, 1967), ‘나무들, 비탈에 서다’(최하원 감독, 1968) 등 5편의 짧은 언론시사회를 열었다. 영상자료원이 보유하지 못하다가 새로 발굴해낸 작품들의 언론시사회였다.

이병훈 원장은 “그간 유실돼 실체를 확인할 수 없었던 1949년부터 1981년까지의 한국 극영화 94편을 포함해 총 450편의 필름을 한규호 연합영화공사 대표로부터 기증받았다”면서 “보존율이 미미했던 1950~1970년대 영화가 다량으로 발굴돼 한국영화사의 사료적 공백을 메울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영상자료원이 이번에 수집한 한국영화 94편은 이만희, 임권택, 정진우, 김수용 등 당대 최고의 감독들 작품이 포함됐다. 특히 ‘외아들’, ‘나무들 비탈에 서다’를 비롯해 노필 감독의 ‘안창남 비행사’(1948), 국내에서 두 번째 여성감독인 홍은원 감독의 ‘여판사’(1962) 등 거장 감독들의 데뷔작 4편도 들어 있다.

영상자료원은 “단순히 영상자료원만의 성과가 아니며 그간 취약했던 한국영화 보유율을 획기적으로 확대했다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한국 영화사의 사료적 공백을 상당히 메울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