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영화 ‘차이나타운’ 속 뒷골목 권력자로 돌아온 김혜수

‘차이나타운’은 비정한 권력의 비극적 대물림에 대한 영화다. 살부(殺父)의 신탁에서 벗어나려 갖은 몸부림을 치며 멀리 돌아왔건만 결국 제 손으로 아버지를 죽였음을 뒤늦게 깨달은 그리스 비극 속 오이디푸스처럼 말이다.

1986년 데뷔작이었던 영화 ‘깜보’에서 풋풋하기만 했던 중학생 김혜수는 30년의 시간이 흘러 누구도 넘볼 수 없는 ‘김혜수식 섹시미’를 완성시켰다. 그는 영화 ‘차이나타운’에서 뒷골목의 비정한 여자 보스로서 또 한번의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br>CGV아트하우스 제공
김혜수(45)를 위한, 김혜수에 의한 영화다. 영화 속 김혜수도 운명을 거부할 수 없었다. 오히려 적극적으로 운명을 받아들였다. 생존을 위한 거친 경쟁과 살육만이 남아 있는 인천 차이나타운 뒷골목 권력의 정점인 ‘엄마’의 자리에 있기 위해 운명 지워졌다. 엄마를 죽여서 스스로 엄마가 되었고, 훗날 엄마가 될 운명을 가진 아이의 도전도 덤덤히 받아들인다. 그가 마지막 남기는 말 역시 “죽지 마. 죽을 때까지”다. 비루한 권력은 그렇게 운명적으로 대를 잇는다.

지난 23일 서울 종로구 팔판동 한 찻집에서 김혜수를 만났다. 제멋대로 뻗친 뻣뻣한 머리카락이며 기미투성이의 푸석한 얼굴, 드럼통처럼 굵직한 몸은 온데간데없다. 예의 밝고 당당한 김혜수로 돌아왔다. 29일 개봉이니 아직 관객들의 반응이 나오지도 않았건만 조바심 따위는 전혀 없다. 그저 신나게 촬영했던 기억을 남긴 ‘차이나타운’의 은은한 여운을 즐기고 있었다. 최선을 다한 이가 보여주는 느긋함이다. 과정 속에서 최선을 다한 노력은 그 자체가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영화 ‘차이나타운’ 속 김혜수(왼쪽)와 김고은. <br>딜라이트 제공
“처음에는 시나리오가 너무 강렬했고, 영화를 풀어가는 방식과 정서가 너무 세서 좀 망설인 부분이 있었죠. 하지만 여성이 주체가 돼서 영화를 끌고 가는 것이나 ‘엄마’라는 캐릭터 자체가 신선해서 선택했죠. 아주 즐겁고 새로운 경험이었어요.”

김혜수는 “괴물 같은 절대권력을 상징하는 이 캐릭터는 영화 속에서만 존재할 것 같았는데 시나리오를 덮고 곰곰이 생각해 보니 현실 속 어딘가에도 존재할 것만 같은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영화 속 엄마는 피붙이가 아니면서 유사가족 집단을 이루고 사는 자식들에게 이야기한다. “증명해 봐. 네가 쓸모 있다는 것을.” 자식들은 엄마의 잔혹한 명령 앞에 가치판단을 유보한다. 살인도, 폭력도 엄마에게 인정받고 싶은 자식들의 몸부림이다.

이내 진지한 표정을 지으며 덧붙였다. “영화 속 차이나타운 뒷골목은 우리 사회의 축약판 같은 곳”이라면서 “예컨대 어렸을 때부터 쓸모 있게 만들기 위해 영어유치원에 보내지 않나. 진학하고, 취업하는 과정 등 사회 구성원을 끊임없이 경쟁과 효율성의 공간으로 내모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눈치챘을 수 있다. 영화에 대한 해석, 캐릭터에 대한 분석 등 김혜수의 영화 공부는 꼼꼼하다. 16살에 시작한 연기 인생이 30년에 이르는 동안 무려 35편의 필모그래피를 갖게 된 베테랑 배우다. 하지만 김혜수는 자신을 ‘늦된 배우’라며 몸을 낮췄다.

“잘 모르고 시작한 일이다 보니 배우로서 자의식이 없었어요. 대학(동국대 연극영화과) 가서야 연기를 배우려고 했지만 남들이 생각하는 저와 실제의 저 사이에 간극이 컸었죠. 배우로서 회의감이 생기기도 했고요. 저는 늦된 배우예요.”

뜻밖이었다. 김혜수 하면 으레 ‘카리스마’, ‘아우라’, ‘이지적’ 등의 단어와 연결지어진다. 그는 “늦되다 보니 오히려 나중에 싫은 것과 좋은 것에 대한 의지 및 판단이 매우 명확해진 것 같고, 또 센 역할을 많이 연기한 영향도 있는 것 같다”면서 자기에게 덧씌워진 강한 이미지를 해석했다.

한 가지 일을 30년의 시간 동안 해낸 것은 보통 일이 아니다. 이제는 후배를 챙기고 영화판 전체를 조망할 수 있게 됐다. ‘차이나타운’에서 함께 연기한 후배 김고은(24)에 대한 살가운 애정을 인터뷰 내내 감추지 않았다. 그는 “나는 그 나이 때 그렇게 연기 못했다. 앞으로 더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배우는 마냥 계속 성장할 수만은 없는 것이고, 어려움에 부닥칠 수도 있지만 부족함을 인정하고 혼자 잘 하는 직업이 아님을 인식한다면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첫 장편영화로 ‘차이나타운’을 연출한 한준희(31) 감독에 대해서도 “판단이 매우 명확하고 어떤 상황에서도 침착함을 잃지 않는 감독”이라고 아낌없는 찬사를 보냈다.

김혜수가 아름답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된다. 중국의 대표 미인 서시(西施)의 찡그림을 아무나 따라하면 안 되듯, 김혜수 특유의 ‘콧잔등 웃음’을 함부로 흉내 내서는 안 된다. 김혜수와 같은 자신만만함이 아닌, 콧등의 주름만 새로 얻게 될지 모른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