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가 초반부터 공을 들이고 있는 부분은 므샤칼 주민들의 이중적인 캐릭터 묘사다. 그들은 하나의 공동체로서 대부분 유쾌하고 다정한 성격을 갖고 있으며 표면적으로는 아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듯 보인다. 그러나 그들이 서로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직업이나 나이, 가족관계 등과 같은 외피에 불과하다. 또한 그들은 각자가 가진 비밀을 이웃에게 들킬까 봐 위태하고 불안정한 삶을 살고 있다. 영화의 주제와 직결되는 가장 큰 문제는 전통적 기준이 만들어 놓은 ‘정상’의 궤도 안에서 보수성과 배타성을 끌어안고 있다는 점이다. 다른 마을에서 온 레바의 아내(라라)나 장애를 가진 노인(카카)을 대하는 그들의 태도가 이를 반영한다. 레바는 이렇듯 무심하고 강퍅한 주민들과 대비를 이루는 인물로, 사람들의 본모습을 통찰하는 예리함과 섬세함을 가지고 있다. 그는 그들의 단점을 다 알면서도 흉보거나 약점을 잡는데 사용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가디를 진짜 천사로 여기도록 만들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레바의 겸손함과 온유함이 있었기 때문이다.
비록 레바가 거짓말을 꾸며내고 연극을 벌이는 등의 사건이 벌어지지만, 과연 세상에 하얀 거짓말이 존재하는가 혹은 필요한가에 대한 질문은 영화의 주된 관심사에서 비껴나 있다. 우리에게 감동을 전달하는 것은 소외를 경험했던 레바가 므샤칼 사람들을 변화시키면서 행복을 선사하는 과정이다. 인간의 선한 본성에 대한 믿음과 삶에 대한 긍정적 시선이 따뜻하게 머무는 작품이다. 5월 7일 개봉. 12세 이상 관람가.
윤성은 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