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익은 사랑 얘기 낯설게 다가서기

‘니콜라스 스파크스’라는 이름은 낯설다 해도 영화 ‘디어 존’, ‘노트북’, ‘워크 투 리멤버’, ‘병 속에 담긴 편지’ 중 한 편이라도 기억하는 관객이라면 이 원작자가 어떤 소설을 쓰는 사람인지는 금방 눈치 챌 수 있을 것이다. 사랑에 대한 무한한 예찬과 신뢰는 그의 작품들을 관통하는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찬찬히 살펴보면 새롭고 기발한 이야기는 아니다. 그러나 어디서 들어봤음 직한 러브 스토리도 특별하게 포장해 내는 감각과 서정적 문체가 그를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의 대열에 올려놓았다. 이미 여덟 편이나 영화로 만들어졌지만 여전히 영화 제작자들이 그의 소설을 주시하고 있는 것도 그런 이유일 것이다. 낯설지 않은 것들을 더 아름답게, 더 가슴 저리게 표현하는 것이 대중성을 담보하는 기본이기 때문이다. 스파크스의 작품 중 아홉 번째로 영화화된 ‘베스트 오브 미’ 역시 예외 없이 그 공식을 따라간다. 말하자면 ‘로맨티시즘’에 대한 종합선물세트 같은 작품이다.

먼저, 이 작품은 ‘다시 만난 첫사랑’ 카드를 꺼내든다. 너무 용감한 것일까, 지나치게 소심한 것일까. 진부하다는 평가를 피하기는 어렵겠지만 실패할 확률이 적은 것도 사실이다. 게다가 첫사랑만큼 이성적 논리나 윤리적 판단 따위를 유보시킬 정도로 맹목적인 힘을 가진 소재도 드물지 않은가.

가정이 있는 여자가 20년 만에 만난 첫사랑과 며칠을 함께 보내며 옛 감정에 젖어드는 이야기가 영화 안에서 무리 없이 용인되는 이유는 그들이 긴 세월 동안에도 서로를 잊은 적 없었다는 설정, 즉 ‘순수’라는 프리미엄 때문이다. 그것은 서로 열렬히 사랑했던 그 시절, 운명처럼 찾아온 비극으로 인해 헤어질 수밖에 없었던 ‘어맨다’와 ‘도슨’에게 작가가 부여한 첫사랑의 질긴 속성이기도 하다. 향수, 애틋함, 설렘 등 갖가지 감정이 뒤얽혀 어쩔 줄 몰라 하는 두 사람의 재회부터 이 작품은 정통 로맨스 영화의 관습을 그대로 따라간다.

쏟아질 듯 크게 빛나는 별, 프러포즈용 꽃,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추억의 음악, 그에 맞춰 두 사람이 추는 춤, 연못에서의 수영, 운명에 관한 대화들은 낭만적인 분위기를 극대화시키는 요소들로 곳곳에 배치되어 있다. 그중에서도 과거와 미래를 이어 주는 가장 중요한 공간이자 환상적인 미장센을 보여주는 것은 20년 전 두 사람과 깊은 우정을 쌓았던 자동차 정비공 할아버지의 정원이다. 영화의 메인 포스터가 입증하는 것처럼, 오랫동안 가꾸지 못해 잡초만 무성해진 정원도 햇살과 함께 두 남녀가 들어서면 한 폭의 그림이 된다. 어수선하고 메말라버린 정원은 오래전에 헤어진 슬픈 연인에 대한 표상임과 동시에 어맨다와 도슨의 사랑을 다시 확인하게 만드는 매개적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과하다 싶을 정도로 자주 등장하는 선남선녀들의 러브신은 고혈당 쇼크를 일으킬 정도지만, 애당초 영화의 목적이 그럴진대 비난하기는 어렵다. 사랑의 감수성에 세례받고자 하는 이들은 20년 전에도 있었고, 지금도, 20년 후에도 있기 마련이니까. 15세 이상 관람가.

윤성은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