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령’ 시작으로 새달에야 개봉작 쏟아져… C급 평가 ‘무서운집’ 관객 요구로 재상영

‘납량’(納凉)-더위를 잊고 서늘함을 맛봄.

심장의 두방망이질이 멈추지 않는다. 동공이 커지고 말라 가는 입술에 연신 침을 발라야 한다. 손바닥은 땀으로 서서히 젖어 간다. 자신도 모르게 터져 나오는 비명도 어쩔 수 없다. 공포 영화다. 여름철이면 단골처럼 찾아오는 납량의 대명사다. 이런 긴장감을 즐기기 위해 일부러 찾아보는 마니아들도 곳곳에 엄존한다. 영화 보는 내내 더위를 잊는 것은 물론 한동안 가시지 않는 서늘함까지 안고 극장을 나서게 된다.

하지만 이제 공포 영화는 더이상 납량 영화로 불릴 수 없다. 무더위가 한참 지나서야 극장을 서서히 찾아들고 있다. 지난 13일 ‘원령’이 첫 문을 열었다. 이어 오는 20일 ‘더 커널’, ‘헌티드 하우스’, 그리고 한국형 정통 공포 영화 ‘퇴마:무녀굴’이 개봉하고 27일 ‘오피스’가 선보인다. 다음달이 되면 본격적으로 봇물이 터진다. 3일 미국의 공포 영화 ‘갤로우즈’를 시작으로 10일 체코 공포 영화 ‘구울’, 영국산 호러 ‘블랙 인 우먼’ 등이 개봉한다.

‘원령’은 중국에서 촬영하고 한국 제작진이 결합한 한·중 합작영화다. 중국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홍수아가 주연을 맡아 한국과 중국이 공감할 수 있는 정서를 극대화한 동양적 귀신 영화다. ‘퇴마:무녀굴’은 한국 현대사가 잉태한 제주도의 비극을 배경 삼아 제주 김녕사굴에 얽힌 설화와 함께 여전히 무속 신앙에 대한 경외심을 가진 현대사회의 모습을 투영시켰다. ‘이웃사람’을 연출한 김휘 감독이 3년 만에 선보이는 또 다른 형식의 공포 영화다. 김성균, 유선의 연기는 공포 영화의 공식을 충실히 따르면서도 한국적 공포로 어떻게 차별화할 수 있는지를 보여 준다. ‘오피스’는 자신의 가족을 무참히 살해한 뒤 자취를 감춘 평범한 회사원이 다시 회사로 출근하며 벌어지는 의문의 사건들을 다룬 스릴러 공포물이다.

이 밖에도 공포 영화에서 빠트릴 수 없는 귀신의 집 이야기인 ‘헌티드 하우스’는 물론 식인 살인마가 등장하는 슬래셔 장르 ‘구울’, 피 한 방울 없지만 극도의 긴장 상태로 몰아넣는 ‘블랙 인 우먼’ 등 장르와 국적의 다양함을 맛볼 수 있다.

이런 가운데 ‘C급 공포물’ 또는 ‘괴작’으로 평가받는 ‘무서운집’은 공포 영화에 대한 또 다른 해석 및 접근을 가능하게 하며 특이한 역주행 현상을 보여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달 30일 단 한 곳에서 개봉한 뒤 하루 만에 접고 바로 IPTV 서비스에 들어갔으나 네이버 영화 서비스 8위에 오르고 상영관을 늘려 달라는 예상치 못한 요구에 따라 지난 13일부터 4개관에서 재상영되고 있다. 감독의 GV(관객과의 대화)까지 열리는 등 반응이 뜨겁다. ‘황당하다 못해 진지하게 생각하게 한다’, ‘진정한 컬트 영화’ 등 관객 반응이 흥미롭다. 양병간 감독은 1980년대 ‘피조개 뭍에 오르다’,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등을 연출했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