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죽음과 소녀… 실레의 삶을 복사하다

오스트리아 화가 에곤 실레는 1890년에 태어나 1918년에 죽었다. 스물여덟 해를 살았을 뿐이지만 그의 이름은 서양 미술사에 남았다. 유화 300여점과 데생 및 수채화 2000여점을 그린 덕분이다. 물론 양이 많다고 해서 꼭 질이 좋다고는 할 수 없다. 하지만 실레는 일찌감치 자기 스타일을 확립한 작가였다. 그가 뛰어난 그림을 그리든, 변변찮은 그림을 그리든 간에 사람들은 그것이 실레의 그림임을 알았다. ‘키스’로 유명한 구스타프 클림트는 자신보다 서른 살 어린 후배의 재능을 높이 샀다. 두 사람이 만나 그림을 교환했을 때 클림트는 이렇게 말했다고 알려져 있다. “왜 굳이 그림을 바꾸려고 하지? 당신 그림이 더 나은데.”

독특한 그림만큼이나 실레의 삶은 범상치 않았다. 가족부터가 그랬다. 정신이상 증세를 보인 아버지는 가산을 불태웠고, 어머니는 심약한 아들을 냉대했으며, 여동생 게르티는 오빠를 지나치게 아낀 나머지 실레의 (누드)모델이 돼 주었다. 이성 문제도 복잡했다. 모아·발리·에디트 등이 그와 관계를 맺었던 여성들이다. 또한 누드화를 자주 그렸던 탓에 실레를 둘러싼 외설 시비는 끊이지 않았다. 무죄로 판명됐으나 여아 유괴 혐의로 기소된 적도 있다. 스물여덟 해를 살았을 뿐이지만 그의 인생은 제1차 세계대전에 휘말린 당시 오스트리아처럼 전쟁 같았다.

이런 실레의 생애를 다룬 영화가 디터 베르너 감독의 ‘에곤 실레:욕망이 그린 그림’이다. 그런데 한국에서 붙인 ‘욕망이 그린 그림’이라는 부제는 이 작품의 의미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한다. 모든 예술―그림은 욕망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해석의 핵심은 도대체 이것이 ‘어떤 욕망’인가를 밝히는 데 있다. 영화의 원작은 힐데 베르거가 쓴 ‘죽음과 소녀:에곤 실레와 여자들’이다. 그래서 베르너 감독도 영화의 부제로 ‘죽음과 소녀’를 썼다. 두 사람은 실레의 욕망을 해명하는 키워드가 그의 대표작 ‘죽음과 소녀’라는 점에 동의했다. 그런 점에서 아랫글은 영화를 볼까 말까 하는 당신의 선택에 참고가 될 것이다. 1988년 11월 빈에서 ‘죽음과 소녀’를 직접 보고 쓴 재일 조선인 작가 서경식의 에세이다.

“그때 나는 이미 30대 중반을 넘어섰지만 부모님이 두 분 다 세상을 뜨신 직후였고, 나 자신은 가족도 일정한 직업도 없었다. 나에게 있는 것이라고는 승리를 기약하기 어려운 투쟁, 이루지 못한 꿈, 도중에 끝나 버린 사랑, 발버둥치면 칠수록 서로 상처밖에 주지 않는 인간관계, 구덩이 밑바닥 같은 고독과 우울, 그런 것뿐이었다… 죽고 싶다고 절실하게 생각한 적은 없지만, 죽음이 항상 내 곁에서 숨쉬고 있는 듯이 느껴졌다. 이 그림 앞에 섰을 때 내가 격렬한 전율에 사로잡힌 것은 반드시 추위 탓만은 아니었다.”(‘청춘의 사신’, 김석희 옮김, 창작과비평사, 2002) 문장에 공감한다면 영화도 보기를 권한다. 그렇다면 당신은 아직 청춘인 것 같다. 22일 개봉. 청소년 관람불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