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실레의 생애를 다룬 영화가 디터 베르너 감독의 ‘에곤 실레:욕망이 그린 그림’이다. 그런데 한국에서 붙인 ‘욕망이 그린 그림’이라는 부제는 이 작품의 의미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한다. 모든 예술―그림은 욕망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해석의 핵심은 도대체 이것이 ‘어떤 욕망’인가를 밝히는 데 있다. 영화의 원작은 힐데 베르거가 쓴 ‘죽음과 소녀:에곤 실레와 여자들’이다. 그래서 베르너 감독도 영화의 부제로 ‘죽음과 소녀’를 썼다. 두 사람은 실레의 욕망을 해명하는 키워드가 그의 대표작 ‘죽음과 소녀’라는 점에 동의했다. 그런 점에서 아랫글은 영화를 볼까 말까 하는 당신의 선택에 참고가 될 것이다. 1988년 11월 빈에서 ‘죽음과 소녀’를 직접 보고 쓴 재일 조선인 작가 서경식의 에세이다.
“그때 나는 이미 30대 중반을 넘어섰지만 부모님이 두 분 다 세상을 뜨신 직후였고, 나 자신은 가족도 일정한 직업도 없었다. 나에게 있는 것이라고는 승리를 기약하기 어려운 투쟁, 이루지 못한 꿈, 도중에 끝나 버린 사랑, 발버둥치면 칠수록 서로 상처밖에 주지 않는 인간관계, 구덩이 밑바닥 같은 고독과 우울, 그런 것뿐이었다… 죽고 싶다고 절실하게 생각한 적은 없지만, 죽음이 항상 내 곁에서 숨쉬고 있는 듯이 느껴졌다. 이 그림 앞에 섰을 때 내가 격렬한 전율에 사로잡힌 것은 반드시 추위 탓만은 아니었다.”(‘청춘의 사신’, 김석희 옮김, 창작과비평사, 2002) 문장에 공감한다면 영화도 보기를 권한다. 그렇다면 당신은 아직 청춘인 것 같다. 22일 개봉. 청소년 관람불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