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관련해 ‘미세스 하이드’는 ‘상호작용’이라는 개념을 강조한다. 영화에서는 지킬과 하이드의 정체성을 혼란스럽게 오가는 가운데 마리가 이것을 직접 설명한다. “상호작용은 두 가지 요소의 역할이 떼려야 뗄 수 없다는 거야. (중략) 이렇게 두 원인 간에 상호작용이 있을 때 둘이 합쳐진 결과는 각각을 분리해 측정할 수 없어.” 다시 말해 지킬이 선인이고 하이드가 악인이 아니라는 뜻이다. 한 몸에 깃든 지킬과 하이드는 뒤섞일 수밖에 없다. 이런 혼종적 주체가 하는 행동은 때로는 선으로, 때로는 악으로, 때로는 선악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모호한 것들을 산출한다. 그 예는 한 개인을 넘어, 그런 개인들의 집합인 사회·교육 현장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생각하는 법’을 배우는 것은 그래서 중요하다. 더 정확하게 표현하면 ‘사유하는 법’을 익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선악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모호한 것들을 일방적인 선, 혹은 일방적인 악으로 잘못 규정하고 만다. 마리의 지도로 학생 말릭(아다 세나니)은 그것을 깨우친다. 덕분에 그는 이 영화에서 그녀가 지킬이면서 하이드일 수 있는 존재임을, 동시에 그녀가 지킬도 하이드도 아닐 수 있는 존재임을 인정하는 유일한 사람이 됐다. 교육의 참된 효과다. ‘미스 하이드’는 만듦새가 그리 뛰어난 영화는 아니다. 하지만 이 같은 문제의식에 기초한 개인과 사회의 얽힘, 해결에 관한 메시지를 또렷하게 전한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