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가지 위험 요소는 있다. 그들은 빵 만드는 데 필요한 우유를 몰래 훔친다. 마을에 단 한 마리뿐인 젖소의 소유자는 그곳에서 대장으로 군림하는 펙터(토비 존스)다. 권력자의 소유물에 밤마다 접근해 쿠키와 킹 루가 우유를 짜 왔으니 들키면 죽음을 면치 못한다. 한마디로 ‘퍼스트 카우’는 남의 우유로 빵을 구워 팔던 두 남자의 운명에 관한 영화다. 이처럼 내용 자체는 어려울 게 없지만, 이 영화는 섬세하게 감상하지 않으면 안 된다. 각기 다른 삶을 살지만 한편으로는 서로 연결돼 있는 세 여성을 초점화한 ‘어떤 여자들’(2016) 등을 제작해 온 감독 켈리 라이카트가 이번에도 풍부한 의미로 가득 찬 영화를 완성해서다.
형식적인 면부터 그렇다. 35㎜ 필름으로 촬영한 이 영화의 화면비는 1.37대1이다. 블록버스터 영화가 1.90대1 아이맥스 화면비를 채택하는 점을 고려하면 가로폭이 좁다. 와이드스크린에 익숙한 관객은 답답하다는 느낌을 받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같은 형식에 감독이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들어 있다. ‘퍼스트 카우’는 서부 개척시대 화려한 총잡이가 아닌, 평범한 혹은 소외된 사람을 주목하겠다는 의지를 내보이기 때문이다. 툭하면 무시당하는 쿠키나 이민자인 킹 루는 결코 당대의 주류에 속할 수 없던 까닭이다. 더불어 이 영화의 카메라는 백인의 하인으로 전락한 인디언들을 오래 비춘다. 미국 입장에서 서부 개척시대라 명명한 19세기가 실은 학살의 역사임을 드러내는 장면이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