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

영화 ‘드라이’
좋은 작품은 날씨를 허투루 사용하지 않는다. 손창섭 ‘비 오는 날’(1953), 윤흥길 ‘장마’(1973) 등의 한국 소설만 떠올려 봐도 그렇다. 이들 작품에서 날씨는 소설 내 음울한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만 그치지 않는다. 날씨는 인물들의 생각과 행동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그러기에 날씨는 단순한 장치라기보다 얼굴 없는 주인공이라고 해야 옳다.

영화 ‘드라이’(The Dry)에서도 마찬가지다. 명시적인 주인공은 호주 연방 경찰 에런(에릭 바나)이다. 묵시적인 주인공도 있다. 제목이기도 한 ‘건조한’ 날씨다. 며칠 비가 오지 않은 게 아니다. 열 달 넘게 비가 오지 않았다. 땅도 사람도 각박하게 만드는 메마른 날씨는 영화의 시작과 끝을 함께한다.

2017년 출간된 동명의 원작 소설에서 작가는 에런의 친구 그레천의 입을 빌려 이렇게 말한다. “더위가 모든 걸 더 나쁘게 만들어. 키와라 사람들은 거의 누구나 인내심의 한계에 다다른 상태야. 모두가 무척 화가 나 있어. 단지 루크에게만 화가 나 있는 건 아니야. 그를 가장 모욕하는 사람들은 그가 저지른 짓 때문에 그를 미워하는 것 같진 않아. 이상하지. 사람들은 그를 질투하고 있는 것 같으니까. 내 생각에는 그들이 할 수 없는 일을 해 버렸기 때문일 거야. 그는 이제 빠져나간 거니까. 안 그래? 살아남은 우리는 이곳에 갇혀서 썩어 가고 있는데 그는 농사나 대금 지급이나 다음번 비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잖아.”

가뭄이 계속되는 곳은 호주의 가상 마을 키와라다. 에런은 고향인 이곳으로 잠시 돌아왔다. 친구인 루크 가족의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루크는 아내와 자식을 죽이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것이 경찰 조사 결과였다. 그러나 뭔가 석연찮은 낌새를 눈치챈 에런은 사건의 내막을 다시 파헤치기 시작한다. 그러한 과정은 물론 순조롭지 않다. “키와라 사람들은 거의 누구나 인내심의 한계에 다다른 상태”일뿐더러 거기에 더해 에런이 지난날의 사건에 발목 잡혀 있는 탓이다. 10대 시절 그는 여자 친구였던 엘리(베베 베텐코트)의 죽음과 관련이 있었다. 실제로 에런은 루크와 입을 맞춰 알리바이를 꾸며 냈다.

이러한 이유로 십수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의 결백을 믿지 않는 마을 주민이 적지 않다. 비우호적인 환경 속에서 에런은 난제를 해결해 나가야 하는 것이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이 영화는 과거와 현재의 미스터리가 교차되면서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에런을 포함한 주요 인물들이 살인 혐의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점이 서스펜스의 핵심이다. 그래서 ‘드라이’는 화려한 액션신 없이도 긴박감을 자아낸다. 남에게는 진실을 털어놓으라고 다그치지만 정작 자신의 진실을 털어놓을 수 없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에런을 괴롭힌다.

“살아남은 우리는 이곳에 갇혀서 썩어 가고 있다”는 그레천의 표현은 마을을 떠나 있던 그에게도 예외 없이 적용된다. 건조한 날씨는 삭막해지는 존재성 그 자체다. 15세 관람가. 117분.

허 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