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0/30/SSI_20221030100020_V.jpg)
로버츠는 지난달 24일(현지시간) 미국 케이블 A+E 네트웍스와 히스토리 채널의 ‘히스토리토크스’ 진행자인 게일 킹과 대화하던 중 “킹 목사 가족, 목사님과 코레타가 내 병원 비용을 지불했다. 우리 부모님은 분명히 병원비를 지불할 형편이 못 됐다”고 털어놓았다. 부모 월터와 베티가 킹 목사 부부와 어느 정도로 친했느냐고 묻는 질문에 그녀는 “부모님들이 애틀랜타의 배우 및 극작가 워크숍이 운영한 연극학교에 몸담았는데 어느날 코레타가 우리 어머니에게 전화해 ‘아이들 맡길 곳이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연극학교에 맡기면 어떻겠느냐’고 물었는데 우리 어머니가 ‘물론 그럴게요’라고 답했고 금세 친구가 됐다. 킹 목사 부부는 그렇게 우리를 법석에서 구해냈다”고 답했다.
이 극장이 언론의 관심을 끈 것은 2013년 필립 드포이가 쓴 에세이 때문이었다. 그는 1965년 극 중 여우 역할을 맡아 테라핀(후미거북) 배역을 맡은 킹 목사의 딸인 욜란다 킹(2007년 사망)에게 입을 맞췄는데 이를 보고 격분한 백인우월주의 단체인 큐 클럭스 클랜(KKK) 단원이 극장 밖에 세워둔 뷰익 자동차를 날려버린 일이 있었다고 돌아봤다. 그는 “소녀에게 입을 맞췄더니 10야드 떨어진 곳에 있던 뷰익이 폭발했다. 난 짐 싣는 트럭 뒤칸에 있었는데 아비규환이 됐다. 우리는 애틀랜타에 있었는데 아주 멋진 여름날 벌어진 일이었다. 난 열다섯 살이었다. 난 전형적인 백인이었고 욜란다는 아니었다. 그것이 이 난리가 벌어진 이유였다. 뷰익이 누구 차인지도 몰랐는데 난 누가 그걸 날려버렸는지 알았다”고 적었다.
야후 닷컴의 블로그 리볼트가 29일 이런 사실을 뒤늦게 전했는데 전날은 로버츠의 생일이었다.
임병선 선임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