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시대는 1975년 7월부터 1978년 6월까지 약 3년의 활동 기간 동안 홍파의 ‘숲과 늪’(1975)을 시작으로 김호선의 ‘겨울여자’(1977)까지 모두 8편의 작품을 선보였다. 그들은 서구의 뉴시네마 운동을 한국으로 이식시키기 위해 스토리보다는 이미지의 영화를 지향하고, 주관적 사실주의를 앞세운 모더니즘 영화 미학을 시도했다. 특히 그들은 한국적 영화예술을 정립하기 위한 단초로 불교의 윤회 사상과 무속적 요소를 주목한다.
하지만 제대로 개봉조차 하지 못한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리’(홍파, 1977), ‘한네의 승천’(하길종, 1977) 같은 작품에서 볼 수 있듯 이들의 작업은 대중 관객들의 광범한 지지를 이끌어 내지는 못했다.
변인식의 평가처럼 3년 남짓한 영상시대의 활동이 ‘바보들의 행진’에 그쳤을는지도 모르지만 이들은 분명 한국영화사에 주목할 만한 페이지를 만들었다. 이장호의 ‘바람 불어 좋은 날’(1980), 이원세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1981) 같은 사회비판적 리얼리즘 영화, 더 나아가 1980년대 ‘코리안 뉴웨이브’의 등장은 바로 영상시대의 도전과 실험정신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