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이장호·변인식 등 무교동 태화관에 모여 선언

3년간 8편 작품서 이미지·모더니즘 미학 시도
영상시대 동인 평론가 변인식(오른쪽)과 감독 김호선(가운데)
1975년 7월 18일 서울 무교동의 태화관 별관홀에 모인 30대의 젊은 감독 이장호, 김호선, 하길종, 홍파, 이원세 그리고 영화평론가 변인식은 한국의 ‘뉴시네마’ 운동을 선포한다. 이것이 바로 “한국영화의 예술화”를 기치로 내건 청년영화집단 ‘영상시대’의 출발이다. 이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김호선은 유현목, 이원세는 김수용, 이장호는 신상옥의 조감독 출신이었고, 하길종은 미국 UCLA 대학원에서 영화를 공부한 유학파, 홍파는 시나리오 작가였다. 영상시대 동인들은 신인 배우 모집, 연출 지망생 양성, 영화 전문잡지 ‘영상시대’ 발간 등의 활동을 펼쳤다. 배우 이영하·임성민, 감독 신승수·장길수·정지영 등이 그들이 발탁한 신인이다.

영상시대는 1975년 7월부터 1978년 6월까지 약 3년의 활동 기간 동안 홍파의 ‘숲과 늪’(1975)을 시작으로 김호선의 ‘겨울여자’(1977)까지 모두 8편의 작품을 선보였다. 그들은 서구의 뉴시네마 운동을 한국으로 이식시키기 위해 스토리보다는 이미지의 영화를 지향하고, 주관적 사실주의를 앞세운 모더니즘 영화 미학을 시도했다. 특히 그들은 한국적 영화예술을 정립하기 위한 단초로 불교의 윤회 사상과 무속적 요소를 주목한다.

하지만 제대로 개봉조차 하지 못한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리’(홍파, 1977), ‘한네의 승천’(하길종, 1977) 같은 작품에서 볼 수 있듯 이들의 작업은 대중 관객들의 광범한 지지를 이끌어 내지는 못했다.

변인식의 평가처럼 3년 남짓한 영상시대의 활동이 ‘바보들의 행진’에 그쳤을는지도 모르지만 이들은 분명 한국영화사에 주목할 만한 페이지를 만들었다. 이장호의 ‘바람 불어 좋은 날’(1980), 이원세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1981) 같은 사회비판적 리얼리즘 영화, 더 나아가 1980년대 ‘코리안 뉴웨이브’의 등장은 바로 영상시대의 도전과 실험정신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