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잡지·강좌 통해 대중문화 중심으로
2000년대 한국영화 번영기 토대 만들어
1970년대 후반 프랑스, 독일 문화원의 영화 모임을 통해 출현한 시네필(영화광) 출신들이 이른바 ‘문화원 세대’라면 1990년대 중반에 등장한 열혈 영화마니아들은 ‘시네마테크(예술영화전용관) 세대’라 부를 수 있다. 외국의 문화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예술영화 감상 공간은 ‘영화공간 1895’, ‘씨앙씨에’, ‘문화학교 서울’ 등 복사판 비디오를 상영하는 소규모 비디오테크 공간으로 이어졌고, 이를 통해 형성된 ‘영화청년’들은 고전·예술영화를 직접 스크린에서 확인할 수 있는 시네마테크로 결집했다.
1995년 2월 종로 코아아트홀, 낯선 이름의 러시아 감독 안드레이 타르콥스키의 ‘희생’(1986)이 5만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했다. 전국 10만명을 동원한 이 영화의 흥행성적은 ‘예술영화’ 관객층이 처음 표면화된, 한국 영화문화의 일대 사건이었다. 같은 해 이광모 감독의 영화사 백두대간과 손잡은 동숭시네마텍이 개관하며, 코아아트홀과 함께 본격적인 시네마테크 문화를 선도했다. 2000년에는 대학로의 하이퍼텍 나다, 광화문의 시네큐브 그리고 2002년 소격동의 서울아트시네마가 이어지며 예술영화전용관이 만개했다.
영화청년들의 결집은 1996년 9월 출항한 부산국제영화제로 정점을 이루었다. 시네필들은 유럽 국제영화제의 수상작들과 새롭고 낯선 아시아 영화들을 통해 영화에 대한 목마름을 한꺼번에 해소할 수 있었다. 1997년 2회 영화제에서는 한국영화회고전을 통해 김기영 감독을 재조명, 한국영화 아버지 찾기의 첫발을 내딛기도 했다. 부산국제영화제의 성공은 1997년 4월 서울국제여성영화제, 8월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등 다양한 성격의 영화제가 출범하는 계기가 됐다.
한편 영화청년들의 손에는 영화잡지가 빠지지 않았다. 1995년 5월 한국 최초의 영화전문 주간지 ‘씨네21’에 이어 마니아층을 겨냥한 ‘키노’가 창간됐고, 12월에는 할리우드 기사와 사진을 직송받는 라이선스 영화잡지 ‘프리미어’가 이어졌다. 영화전문지를 통해 영화문화는 대중문화의 중심으로 위치 지어졌고, 영화비평 담론은 일상이 됐다. 문화학교 서울, 민예총 아카데미, 한겨레 문화센터 등의 영화강좌 역시 영화청년들의 갈증을 풀어 주며, 영화비평의 대중화에 물꼬를 텄다. 영화 탄생 100주년이었던 1995년, 한국의 ‘영화청년’들은 시네마테크, 국제영화제 그리고 영화저널 등과 다양한 관계망을 구축하며 새로운 영화문화를 꽃피웠고, 이는 2000년대 한국영화의 든든한 자양분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