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위니’의 원형은 제임스 웨일의 ‘프랑켄슈타인’과 ‘프랑켄슈타인의 신부’다. 빅터의 과학적 재능이 프랑켄슈타인 박사의 후손으로서 물려받은 것임은 말할 필요도 없고, 스파키를 되살리는 장면은 프랑켄슈타인 박사의 실험을 거의 비슷하게 재현하며, 풍차와 묘지 등의 풍경은 웨일의 영화에서 따다 놓은 듯하다. ‘프랑켄위니’에서 가장 짜릿한 순간은 되살아난 스파키가 깨진 거울 속의 자기 모습을 바라보는 때다. 그런데 ‘프랑켄위니’는 괴물성이라는 심각한 주제에 매달리기보다 괴물을 대하는 사람들의 시선에 더 비중을 둔다. 원작이 괴물을 규정하는 편협한 시선을 소재로 삼았다면 리메이크 버전은 현실의 안락함만 추구하는 교외의 중산층을 풍자하는 데 적지 않은 부분을 할애한다.
원작과 리메이크의 변화와 기술적 차이는 빅터가 엄마, 아빠 앞에서 보여주는 홈무비에서부터 감지된다. 흑백인 건 여전하지만 3차원(3D) 안경을 쓰고 봐야 하고 촬영과 편집 등에서 엄청난 기술적 변화가 드러난다. 그러면서도 원작의 정서는 별로 훼손되지 않았다. 인간의 손길이 담긴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덕에 원작의 소박한 느낌이 유지되고 있으며 흑백의 부드러운 이미지는 영화에 고전적인 아름다움을 부여했다. 리메이크 버전의 으뜸가는 볼거리는 마을 축제에서 벌어지는 한바탕 소동이다. 축제에서 상영 중인 ‘밤비’를 비웃는 것처럼 버턴은 유쾌한 악취미를 맘껏 발휘한다. 괴수 영화를 비롯한 수많은 B급 영화에서 튀어나왔을 성싶은 괴물들이 거리를 활보하며 난동을 피운다. 기이한 유머를 즐기는 버턴의 친구라면 그 장면에서 손뼉 치고 싶어 손이 근질거릴 것 같다. 11일 개봉.
영화평론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