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6일 밤 ‘하나뿐인 지구’

생태, 동태, 황태, 코다리, 노가리 등 다양한 이름으로 우리 밥상에 꾸준히 오르던 명태가 우리 바다에서 자취를 감춰버렸다. 그러나 반갑게도 명태의 ‘사촌뻘’인 대구가 우리 바다로 돌아왔다. 6일 밤 8시 50분 방송되는 EBS 하나뿐인 지구 ‘집 나간 명태를 찾습니다’ 편에서는 국민 생선인 명태와 그의 사촌 대구가 함께하는 우리의 바다 이야기를 들어본다.

얼큰한 동태찌개나 담백한 동태전, 시원하고 개운한 북엇국까지 모두 명태로 만든 음식이다. 명태를 부르는 이름이 다양하다는 것은 그만큼 명태가 흔한 생선이며 우리나라에서 즐겨 먹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 우리 바다에서는 더 이상 명태가 잡히지 않는다. 국민 생선이라는 타이틀이 무색하게 러시아산, 일본산으로 대신하고 있는 실정이다. 살아 있는 명태를 찾기 위해 북태평양 바다로 원양어선을 보내고 있다.

명태만큼이나 우리 국민들이 즐겨 찾던 대구 역시 한때 자원량이 급감해 보기 힘들었던 때가 있었다. 그러나 사정이 달라진 지금은 대구가 제법 잡히고 있다. 제작진은 제철 대구가 풍어를 이룬 거제 외포항을 찾아가 사라진 대구를 살리기 위한 노력들을 취재했다.

2014년 해양수산부는 강릉원주대학교와 동해수산연구소, 강원도해양심층수 수산자원센터와 함께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동해안 명태들을 2020년부터 다시 맛볼 수 있도록 하는 계획이다. 사업의 첫 단계는 살아 있는 명태를 찾는 것으로, 50만원의 현상금도 걸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서 명태가 다시 우리 바다로 돌아올 수 있을 것인지 지켜본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