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량공세 리얼웃음

SBS 간판 코미디 프로그램 ‘웃음을 찾는 사람들’(웃찾사)이 오는 7일 방송 500회를 맞는다. 한때 전성기를 맞았던 코미디 프로그램은 지상파에서는 ‘웃찾사’와 KBS ‘개그 콘서트’만 살아남았고, MBC에선 자취를 감췄다. 케이블에서는 tvN의 ‘코미디 빅리그’가 유일하다.


2003년 4월 처음 방송된 ‘웃찾사’는 ‘행님아’, ‘화산고’, ‘그때그때 달라요’, ‘비둘기 합창단’, ‘그런 거야’ 등을 히트시키며 승승장구했으나 2005년 개그맨 박승대를 비롯한 출연 개그맨들의 노예계약 파문으로 위기를 맞은 뒤 계속 하락세를 보이다 결국 2010년 폐지되는 불운을 겪었다. 개그맨과 제작진은 절치부심 끝에 2011년 ‘웃찾사’의 후신으로 ‘개그 투나잇’을 신설했고 2013년 4월 프로그램 제목을 ‘웃찾사’로 되돌렸다. 편성 시간은 토요일 밤 12시, 일요일 오전 10시대등 자주 바뀌었지만 금요일 밤 11시대로 옮기면서 ‘배우고 싶어요’, ‘기묘한 이야기’, ‘뿌리 없는 나무’ 등이 인기를 끌며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지난 봄 개편 때부터는 일요일 밤 8시 45분으로 시간대를 옮겨 KBS ‘개그 콘서트’와 맞대결을 벌이고 있다.

공백기를 제외하고 ‘웃찾사’가 온전히 시청자를 만난 시간은 만 10년. 우여곡절 속에서도 500회를 이어 온 비결은 뭘까. 매주 새 코너를 3개씩 올리는 등 새로움과 건강한 웃음을 꾸준히 추구했다는 게 제작진의 자평이다.

‘웃찾사’의 담당 PD와 CP로 8년을 함께한 이창태 SBS 예능국장은 “‘웃찾사’의 한 회 출연자는 40여명으로 ’개콘´과 같지만 ‘예비군’에 해당하는 가동 인력은 ‘웃찾사’가 60명인 반면, ‘개콘’은 400여명에 달한다”면서 “제가 총 27주간 연출을 맡는 동안 96개의 코너를 신설하는 등 죽기 살기로 물량 공세를 펼쳤다”고 말했다.

개그 프로그램의 경우 한 코너당 방송 시간은 3~4분에 불과하지만 일주일을 아이디어 개발 및 연습 등에 쏟아야 하는 노동 집약적인 프로그램이다. ‘예능계의 3D’로 불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 개그맨들은 새 코너를 올리기 위해 CP, PD, 작가, 무대감독 등 4~5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테스트를 거친다. 웃음을 위한 웃음을 배제하고 시청자의 입장에서 최대한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목표다.

‘웃찾사’ 500회 특집 방송에는 인기 아이돌 가수와 탤런트 등 축하 사절단이 깜짝 출연하고 넌버벌 코미디 퍼포먼스로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는 ‘옹알스’도 축하 공연을 펼친다. 시청자가 뽑은 ‘다시 보고 싶은 추억의 코너’도 준비된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