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병원 응급센터에서 메르스 감염을 막기 위해 보호복을 입은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들이 내원한 한 환자를 병원 안으로 옮기고 있다. 정부는 이날 메르스 환자와 밀접 접촉한 682명을 격리 관찰 대상으로 분류하고 출국 금지 조치를 내렸다.<br>비즈니스워치 제공


메르스 병원 공개, 여론조사 결과 82.6% “공개해야” 예방법 보니 마스크+손세정제

메르스 병원 공개, 여론조사 해보니 82.6% “공개해야..” 예방법 보니 마스크+손세정제

‘메르스 병원 공개’

메르스 병원 공개 요구에 여론이 모아지고 있다.

국민 10명 가운데 8명이 메르스 감염자가 발생한 병원과 지역을 공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지난 2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상자의 82.6%가 메르스에 대비할 수 있도록 감염자가 나온 병원과 지역을 공개해야한다고 답했다.

반면 과도한 불안감을 키울 수 있으므로 해당 병원을 공개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은 13.4%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4.0%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에서 ‘메르스 병원 공개하라’는 응답자의 비율이 86.1%로 가장 높았다. 이어 대구·경북(85.1%), 경기·인천(84.4%), 서울(81.0%), 광주·전라(80.7%), 부산·경남·울산(76.9%)이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30대(91.3%), 40대(88.0%), 20대(85.0%), 50대(77.0%), 60대 이상(72.5%) 순으로 메르스 병원 공개하라는 의견이 우세했다. 성별로는 여성의 공개 찬성 의견이 86.9%로 남성(78.3%)보다 높았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2일 메르스 유전자 검사에서 5명이 양성으로 추가 확인됐다고 3일 밝혔다. 이로써 메르스 환자가 5명 추가돼 모두 30명으로 증가했다.

특히 새 환자 5명 중 1명이 3차 감염자다. 3차 감염자는 현재까지 3명이다.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메르스 예방법에 따르면, 먼저 비누와 물 또는 손세정제로 손을 자주 씻어야 한다. 중동지역 여행 혹은 체류 중에는 낙타, 박쥐, 염소 등 동물과의 접촉을 삼가야 한다. 특히 낙타와의 접촉을 피해야 하며 익히지 않은 낙타고기나 멸균되지 않은 생낙타유를 먹어서는 안 된다.

또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경우에는 화장지나 손수건으로 입과 코를 가리는 것이 좋다. 사람이 많이 붐비는 장소 방문은 가급적 자제하는 것이 좋으며 부득이하게 방문할 경우 일반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보건복지부는 발열 및 기침,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일반 마스크를 착용하고, 즉시 의료기관에서 진료 받을 것을 당부했다.

네티즌들은 “메르스 병원 공개, 당연한 거 아냐?”, “메르스 병원 공개, 대체 왜 숨기나”, “메르스 병원 공개, 괜히 다른 병원도 피해 입는다”, “메르스 예방법 마스크 손세정제 장만해야겠다”, “메르스 예방법 마스크 손세정제 잘 지키면 괜찮겠지?” 등의 반응을 보였다.

사진=서울신문DB(메르스 병원 공개, 메르스 예방법, 메르스 마스크 손세정제)

뉴스팀 seoule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