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12/17/SSI_20151217100150_V.jpg)
‘미륵사지 석탑’
미륵사지 석탑이 2017년까지 6층으로 복원된다.
17일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미륵사지 석탑이 2017년 7월까지 6층으로 복원될 것이라고 전했다. 기초 조사와 해체 작업 등 복원 사업이 시작된 지 17년 만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미륵사지 석탑(국보 11호)의 역사적 고증의 물리적 한계, 학술적 근거 부족 등으로 인해 9층 원형 복원은 불가능하다”면서 “현재 육안으로 꼭대기처럼 보이는 6층까지 복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륵사지 석탑 복원은 원래 석탑의 고유한 느낌을 살리기 위해 현장에서 발굴된 옛 석재를 최대한 다시 활용할 계획이다.
전북 익산시 금마면에 있는 미륵사지는 백제 무왕 때인 7세기경 창건돼 국내뿐 아니라 동아시아 석탑 중 가장 오래되고 큰 규모의 석탑이 있던 터로 지난 7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미륵사지 석탑은 1915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탑 보존을 위해 붕괴된 부분을 콘크리트로 보수해 유지돼 오다가 탑을 지탱하는 콘크리트의 부식과 석재 균열 등으로 붕괴 위험이 높은 것으로 조사돼 2002년부터 해체 및 발굴조사가 진행됐다.
이후 2013년부터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공사가 진행 중인데 그 형태가 남아있는 ‘6층을 부분 복원한 해체 직전의 모습’을 최대한 살리는 것이 목표다.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1910년의 모습인 일제강점기에 콘크리트 보수를 하기 이전의 모습으로 되돌리는 것.
또 기단부터 2층까지는 원형 형태를 되살리고 나머지는 콘크리트를 떼어낸 모습으로 되돌리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의 1층 석축 돌을 써서 보강할 예정이다.
사진=문화재청 제공(미륵사지 석탑)
뉴스팀 seoule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