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받고자 하는 욕구가 인간의 본능이라면, 그 본능을 조건 없이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가장 가깝고 확실한 사람은 부모일 것이다. 하지만 모든 부모에게 ‘내리사랑’이라는 고귀한 유전자가 허락된 것 같지는 않다. 아이러니 하게도, 그들의 자녀들이 갖게 되는 애정결핍은 다양한 방식으로 분출되어 다시 부모와의 갈등을 조장한다. ‘이유 있는 반항’(2004)으로 잘 알려진 아시아 아르젠토 감독의 신작 ‘아리아’에도 부모와의 소통과 교감에 번번이 실패하는 아홉 살 소녀(아리아)가 등장한다. 그녀는 여러모로 누벨바그를 견인했던 ‘400번의 구타’(프랑수아 트뤼포, 1959)의 ‘앙투안’과 닮아 있다. 의붓아버지의 눈치를 살피던 프랑스 소년과 이혼한 부모 사이에서 방황하는 이탈리아 소녀는 순진한 눈빛부터 일탈적 행동까지 많은 부분에서 긴밀하게 오버랩된다. 이들이 원한 것은 작은 이해와 사랑이었을 뿐이지만 그들의 부모에게 그것은 무리한 요구였고, 그 대가는 지독하기만 하다.

매일 싸우던 부모가 이혼하자 아리아는 엄마 아빠 모두에게 환영받지 못한 채 두 집을 오가는 천덕꾸러기가 된다. 아빠에게는 큰 언니가, 엄마에게는 작은 언니가 있지만 아리아에게는 기댈 만한 가족도, 끝까지 의리를 지키는 친구도 없다. 검은 길고양이 ‘덕’만이 자신의 사랑을 느끼며 가르릉 울어대는 유일한 존재다. 비쩍 마른 몸집에 커다란 보따리를 짊어지고 한 손에는 고양이 케이지를 든 아리아의 모습은 이 영화를 탄생시킨 출발점이자 주제를 압축하고 있는 이미지다. 왜소하고 가냘프기만 한 그녀의 어깨에는 무거운 소외감이 얹혀 있다. 한창 사랑받아야 할 나이의 소녀가 그렇게 집을 나와 낯선 이들과 거리에서 밤을 보내는 장면은 한 가정의 문제를 넘어 어린이에 대한 사회공동체적 책임까지도 생각하게 한다.

씁쓸하고 안타까운 이야기를 들려줌에도 불구하고 영화의 분위기는 어둡지 않다. 아리아의 결핍을 채워 넣으려는 듯 공간은 오히려 화려한 색감으로 가득 차 있고, 빠른 템포의 감각적 음악도 끊이지 않는다. 시간적 배경인 1980년대의 분위기는 빛바랜 폴라로이드 사진처럼 멋스럽게 표현되며 즐거운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무엇보다 이 영화의 활력은 뚜렷한 개성을 가진 등장인물들로부터 나온다. 아름답지만 변덕스럽고 방탕한 엄마, 미신에 집착하는 예민한 기질의 아빠, 핑크색에 미쳐 있는 과체중의 언니 등은 각각 한 편의 영화를 이끌어 갈 수 있을 만큼 독특한 캐릭터들이다. 이들은 과장된 몸짓과 말투를 통해 희화화되기도 하지만,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낼 수 있을 만큼 현실적이기도 하다. 특히 자신의 일과 감정에만 함몰되어 어린 딸-혹은 동생-을 돌아보지 못하는 이기심이 적나라하게 묘사된다. 아리아는 과연 잠시라도 이들의 관심을 끄는데 성공할 수 있을 것인가. 유리처럼 투명한 동심은 마지막 장면에서 순식간에 깨지며 무심한 어른들의 가슴에 생채기를 낸다. 러닝타임 내내 이미지와 사운드와 겉잡을 수 없는 감정이 자유롭게 엉키며 넘실대는 작품이다. 23일 개봉. 15세 이상 관람가.

윤성은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