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 필름토크’ 정윤석·박경근·임흥순 감독의 영화 상영과 대화의 시간

현대미술에서 장편 영상물이 최근 눈에 띄게 늘고 있는 가운데 현대미술과 영화의 접점에서 활동하는 감독들의 작품을 감상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아라리오뮤지엄 인 스페이스 공간소극장에서는 22일 오후 1시부터 상영회와 토크를 결합한 형태인 ‘AM 필름토크: 미술과 다큐멘터리의 경계’가 열린다. 실험성과 예술성을 지향하는 작품을 소개하는 동시에 현대미술과 영화 예술의 접점을 찾아 향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다.

서울과 제주 아라리오뮤지엄을 오가며 해마다 세 차례 진행될 AM 필름토크의 첫 번째 행사에선 정윤석 감독의 ‘논픽션 다이어리’(2013, 93분), 박경근 감독의 ‘철의 꿈’(2013, 100분), 임흥순 감독의 ‘위로공단’(2014, 95분)이 차례로 관객을 만난다. 상영회에 이어 오후 7시부터는 이승민 영화평론가의 사회로 세 감독과의 대화가 이어진다. 동시대 미술과 다큐멘터리의 접점, 현재 한국 다큐멘터리의 특성과 향방에 대해 심도 깊은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다.

‘논픽션 다이어리’는 정윤석 감독의 첫 장편영화다. 부유층에 대한 증오로 5명을 엽기적으로 살해한 지존파 연쇄살인사건과 뒤이어 일어난 성수대교와 삼풍백화점 붕괴 사건을 매개로 1990년대 한국사회를 들여다본다. 정 감독은 살인죄로 사형당한 지존파와 대규모 사상자를 내고도 징역형에 그친 삼풍백화점 대표의 차이에 주목하며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과 시대의 욕망을 들춘다.

박경근 감독의 ‘철의 꿈’은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그림인 고래 암각화가 있는 울산을 배경으로 고래를 잡던 사람들이 세계적인 조선소를 탄생시키게 된 이야기를 신의 존재를 찾아 떠난 연인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그려 낸다. 영화는 바닷속 신비로운 고래의 모습과 현대중공업의 조선 사업을 화면에 담아 압도적인 느낌을 전달한다. 올해 베니스비엔날레 은사자상을 수상한 ‘위로공단’은 구로공단에서 실제로 일했던 여성 노동자들을 비롯해 다양한 직군에 종사하는 여성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현대사의 아픈 기록들을 담담하게 그려 냈다.

아라리오뮤지엄은 “미술과 영화의 경계를 넘나드는 한국 다큐멘터리의 저력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영화 세 편을 모두 관람할 수 있는 패키지 티켓(1만원)은 인터파크와 뮤지엄 티켓박스에서 구매 가능하며 감독과의 대화는 선착순 무료 입장이다. (02)760-1742.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