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기 발랄한 상상력의 뒷받침만 있다면 만화에서는 못 만들어 낼 세상도, 못 만들어 낼 인물도 없다. 해괴한-혹은 지극히 평범한-주인공이 존재하지 않는 어떤 공간에서 펼치는 기상천외한 서사를 별 제약 없이 종이와 펜만으로 담아낼 수 있다.

암살교실
예컨대 만화에서는 3m 정도의 키에 문어 모양의 둥그런 머리와 손발을 갖고 있고, 늘 하얀 이를 한껏 드러낸 채 웃는 표정으로 박사모를 쓰고 있으며, 문어 다리 같은 손발이 잘려도 곧바로 재생되고, 20마하(2만 4480㎞/h)의 속도로 움직일 수 있는 초능력을 지닌, 노란색의 귀여운 괴생명체 정도야 얼마든지 탄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에게 ‘살선생’이라는 이름을 붙인 뒤 달을 베어 먹어서 지구인들이 늘 초승달만 보게끔 만들고 1년 뒤 지구를 파괴하겠다고 공언한, 인류에게 가장 위험한 존재로 만들 수도 있다. 일본에서 1000만부가 판매된 만화 ‘암살교실’이다.

‘암살교실’은 후지TV에서 22부작 애니메이션으로 방영해 지난 6월 뜨거운 반응 속에 종영됐고 결국 영화로도 몸을 비틀었다. 영화는 원작을 실사로도 꽤 비슷하게 구현해 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얼마 전 막을 내린 제19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전석 매진 사례를 기록했고 유럽판타스틱영화제연맹 아시아영화상을 받았다. 국내에서는 그룹 ‘카라’의 전 멤버 강지영이 엉뚱하고 섹시한 여교사 역할로 나와 더욱 화제가 됐다.

살선생은 어떤 이유에서인지 구누기가오카 중학교의 문제아이자 낙오자 집합소인 3학년 E반에 담임교사로 가길 원했고, 정부는 학교가 포기했던 문제아들에게 지구의 존속을 위해 살선생을 죽이면 100억엔을 주겠다는 미션을 내린다. 살선생 역시 빙글빙글 웃으면서 아이들이 어서 빨리 자기를 암살하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이것은 진심이었다. 지구의 적으로만 여겨지던 살선생은 알고 보니 훌륭한 스승이었던 것.

12세 관람가로 학교를 무대로 하는 영화답게 살선생은 “방관이란 단어는 선생님에게는 없답니다”, “제자의 성장은 선생님의 기쁨이랍니다” 등등 참스승의 발언을 학생들에게 마구 날려 댄다. 그리고 누구보다 중학교 교사 역할에 충실하며 학생 하나하나의 성장을 돕는다. 이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자신을 암살할 수 있도록 갖가지 능력을 배양하는 데 힘쓰기도 한다. 덕분에 E반 학생들은 낙오자에서 서서히 우수한 학생이자 ‘훌륭한 암살자’로 성장해 간다. TV드라마가 아님에도 ‘다음 편에 계속’으로 영화가 끝나는 점은 아쉽지만 굳이 원작 만화의 마니아가 아니라면 그 자체만으로도 완결성은 갖췄다. 27일 개봉.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