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결혼 45주년… 삶, 그리고 균열

“왜 지속되는 것이 불타오르는 것보다 더 낫단 말인가?” ‘사랑의 단상’에서 롤랑 바르트는 반문한다. 복잡한 논의가 필요한 이야기지만, 우리가 아는 한도에서 단순하게 말해보자. 여기에서 지속되는 것은 ‘결혼’이고, 불타오르는 것은 ‘사랑’이다. 이 순간 당신을 원한다는 갈망보다, 영원히 당신과 함께하겠다는 서약이 우위에 있다는 상식에 바르트는 의문을 제기한다. 그는 사랑의 완성이 결혼이라는 명제 따위는 믿지 않는다. 사랑은 사랑이고, 결혼은 결혼이며, 둘 사이에 우열이 성립하지 않는다. 이런 사실, 입 밖으로 꺼내지는 않아도 실은 모두가 체감하고 있지 않은가. 결혼은 사랑을 평생토록 보증하지 않는다.

며칠 뒤면 결혼 45주년을 맞는 부부가 있다. 아내 케이트(샬롯 램플링)는 그날을 기념하기 위한 파티를 준비한다. 그때 남편 제프(톰 커트니)에게 편지가 한 통 배달된다. 거기에는 50여년 전 알프스에서 실종된 여성의 시신을 찾았다는 내용이 쓰여 있다. 그녀는 당시 제프의 여자친구 카티야다. 그는 얼음 속에 젊은 시절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는 카티야를 보고 싶어 한다. 반면 그런 제프의 모습을 지켜보는 케이트는 기가 막힌다. 자신과의 결혼 기념 파티를 앞두고 옛 연인을 추억하는 남편이라니.

다음달 5일 개봉하는 ‘45년 후’의 원제는 ‘45 Years’이다. ‘45(주)년’이라고 옮겼어야 하나, 한국 제목에는 ‘후’를 더했다. 그렇지만 뒤나 다음을 뜻하는 명사를 덧붙이지 않는 편이 좋았을 것이다. 케이트와 제프는 아직 45년을 같이 살지 않았다. 영화는 결혼 45주년을 닷새 앞둔 월요일에 시작해, 축하연이 열리는 토요일에 끝난다. 그 기간이 채워져야 비로소 부부는 45년을 해로한 것이 된다. 앤드류 헤이 감독이 초점을 맞춘, 바로 이 시점을 생각해보는 일이 중요하다. ‘후’를 넣으면 45년이라는 세월은 동결되어 외따로 떨어져버리고 만다. 그렇게 두어서는 안 된다. 45년은 순수한 사랑의 결정(結晶)이 아니라, 혼란과 갈등이 뒤섞인 결혼의 자취이기 때문이다.

죽은 카티야가 갑자기 케이트와 제프의 삶에 끼어들었다. 그래서 이들의 사랑에 균열이 일어났다. 이와 같은 해석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영화에서 조명되지 않은 부부의 과거?지금까지의 결혼 생활이 내내 장밋빛이었음을 입증할 근거는 어디에도 없다. 균열은 느닷없이 생기지 않는다. 어떤 관계이든 불완전한 사람들끼리 맺는 것이므로, 균열은 이미 내재될 수밖에 없다. 케이트가 토로한다. “괜찮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아.” 이것은 그녀에게만 해당되는 말은 아니다. 결혼 상태를 유지하는 것과 사랑이 굳건하다는 것은 별개 문제이다. 좋아하다 미워하다, 가까워졌다 멀어지기를 되풀이하다보니 어느새 45년이 된 것이다. 제프가 술회한다. “늙으니까 자꾸 목적의식을 잊게 돼.” 이 또한 그에게만 적용되는 말이 아니다. 반복되어 쌓이는 나날을 보내며, 우리는 사랑을 비롯한 무엇인가를 계속 잃는다. 시간은 에누리가 없다. 15세 이상 관람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