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일 개봉하는 ‘택시운전사’(감독 장훈)는 목숨을 건 잠입 취재로 광주의 진실을 세계에 알렸던 독일 기자 위르겐 힌츠페터(1937~2016)의 실화를 극화한 작품이다. 송강호는 혼돈과 비극의 현장으로 택시를 몰고 들어가는 서울의 택시 운전사 김만섭을 연기한다. 광주의 위험한 상황은 당최 모르는 만섭이 독일 기자 피터(토마스 크레치만)를 태우고 장거리 운행을 뛰는 까닭은 밀린 사글세 10만원을 털어 보려는 욕심 때문이다.
‘택시운전사’는 비극의 그날을 다시 우리 눈앞으로 가져오지만 광주를 다룬 기존 영화나 소설, 예술 작품들과는 결이 다르다. 5·18을 조명하면서도 동시대를 살았던 외부인이자 평범한 소시민이 겪고 느끼는 감정에 초점을 맞춘다. 그래서 카메라가 객관적이라는 평가도, 다른 한편으로는 피상적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선택의 문제였다고 송강호는 설명했다. “참상을 적나라하게 보여 주는 데에 지향점이 있지는 않았어요. 그보다는 현대사의 비극을 국민들이 어떻게 극복하고 희망을 이야기하는지에 초점을 맞췄지요. 5·18을 배경으로 한 너무나 훌륭한 영화, 문학, 예술 작품이 많잖아요. ‘택시운전사’의 특별함은 비극을 잊지 말고 기억하자는 것을 넘어 희망을 이야기하는 것에 있습니다. 평범한 사람들이 다하는 인간적인 도리의 위대함을 방증하는 작품이라고 봅니다.”
영화를 시작할 때의 정권과 개봉을 앞둔 지금의 정부가 다르다. 전 정권에서는 ‘변호인’과 관련한 논란도 있었다. 심리적으로 자유로워졌을 법했다. “정치적인 부담보다는 과연 이 작품을 부끄럽지 않게 진심을 담아 전달할 수 있을까에 대한 부담이 많았죠. 정치 보복까지는 예상하지 않더라도 자기 검열은 있을 수 있는 상황이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신을 꺾지는 못했죠. 창작자들이 갖고 있는 나름의 철학과 소신을 무너뜨리기에는 이 이야기를 많은 분들에게 전달하고 공유하고 싶은 열망이 더 컸습니다.”
송강호는 다시 인간적인 도리를 강조한다. “정권이 바뀌었다고 환호하고 그러지는 않았어요. 국가적으로는 그 자체가 비극이고 안타까운 일이니까요. 어찌됐건 광주 시민뿐만 아니라 만섭처럼 인간적인 도리를 지키며 사는 평범한 사람들의 열망이 모여 지금의 세상이 온 것 아닐까요. 1980년 광주를 기점으로 지금까지 우리 사회가 성숙해 왔다면 그런 힘들이 모이고 모여서 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힌츠페터는 자신과 동행한 택시 운전사를 애타게 찾았으나 결국 만나지 못했다. 그가 적어 준 김사복이라는 이름과 연락처가 맞는 것인지도 확인할 수 없었다. 때문에 영화 속에서 극화된 만섭의 삶과 성격에 생명을 불어넣는 것은 오로지 송강호의 몫이었다. “기술적인 면에서 캐릭터가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는 것보다는 진심을 담는 게 중요했어요. 거대한 아픔과 비극을 평범한 사람이 어떻게 체화해 전달하느냐를 고민했습니다.” 그렇다고 영화가 캐릭터에만 신경을 쏟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는 광주역 광장과 금남로, 불타는 광주MBC, 다시 금남로에서 시민들을 만나며 관객들의 가슴을 들끓게 만든다. 금남로 장면은 스스로도 감정이 차올라 힘들었고 광주역은 내부 시사 때 눈물을 펑펑 쏟은 장면이라고 했다. “금남로 촬영 때가 심정적으로 가장 괴로웠어요. 광주 시민을 연기한 보조 연기자들이 연기자로 안 보이는 거예요. 영화에서는 정제되어 표현됐지만 열 배, 스무 배, 그 이상으로 잔혹했을 참상을 생각하면 너무 고통스러웠죠.
인간적인 도리를 거듭 강조하는 그에게 배우의 도리가 무엇인지 물었다. “최소한 내가 연기하는 게 어떤 의미는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닌지 늘 그런 생각을 품고 연기를 해 왔습니다. 앞으로도 그럴 것이고요.”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