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동자승 섬김, 그 절대적 신뢰

비트겐슈타인이라는 언어철학자가 있다. 그의 철학 전반은 잘 몰라도 그가 남긴 명제는 들어 본 사람이 많을 것이다.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 비트겐슈타인은 ‘세계의 관계를 담은 그림이 곧 언어’라는 요지를 담은 저서 ‘논리-철학논고’를 이렇게 끝낸다. 그에게 말할 수 없는 것은 종교 등의 테마였다. 그렇지만 비트겐슈타인이 형이상학을 부정한 것은 아니다. 같은 책에서 그는 이 세상에는 말할 수 없는 신비한 뭔가가 있고, 그것은 스스로 드러난다고 쓰고 있다. 그러니까 우리는 미지의 영역에 관해서도 말할 수 있는 것―보이고 느껴지는 것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 다큐멘터리 영화 ‘다시 태어나도 우리’도 그렇게 한다.
이 작품은 라다크에 사는 앙뚜와 우르갼의 이야기를 전한다. 원래 앙뚜는 티베트 승려이자 의사인 우르갼을 섬기는 동자승이었다. 그런데 두 사람의 지위가 뒤바뀌는 사건이 일어난다. 앙뚜가 티베트 캄에서 수행했던 전생의 기억을 떠올리기 시작한 것이다. 티베트 불교에서는 고승이 새로운 몸으로 환생한 존재를 린포체라고 부르는데, 여섯 살 때 앙뚜는 린포체임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이제는 우르갼이 앙뚜를 보필해야 했다. 우르갼은 겸허하게 앙뚜를 뒷바라지하는 일을 맡았다. 린포체라고는 하나 아직 어린아이인 앙뚜도 우르갼을 계속 스승님이라 부르면서 그에게 의지한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앞서 언급한 비트겐슈타인에 따르면 앙뚜가 진짜 린포체인지 아닌지는 우리가 말할 수 없는 것에 속한다. 린포체를 둘러싼 이적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다. 문창용·전진 감독은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한다. 대신 이들은 말할 수 있는 것만큼은 제대로 말하려고 애쓴다. 이를테면 앙뚜와 우르갼이 공유하는, 상대방을 향한 믿음의 온기 같은 것들이다. 아니, 믿음의 온기라니. 누군가는 이것이야말로 말할 수 없는 것이 아니냐고 반문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 영화를 보고 나면 당신도 긍정하게 될 것이다.

그들은 사람과 사람이 절대적 신뢰로 맺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무수히 증명해 낸다. 예컨대 앙뚜와 우르갼은 이런 대화를 나눈다. “스승님과 함께하지 않았더라면 저는 여기까지 오지 못했을 거예요.” “린포체님을 돕는 것이 저의 삶이랍니다.” “스승님과 함께라면 항상 좋았어요.” “그렇다면 앞으로도 계속 모셔야겠네요.” 우르갼은 앙뚜를 린포체로, 앙뚜는 우르갼을 스승으로 받든다. 이를 단지 신앙의 힘으로만 해석할 수는 없을 것이다. 설령 앙뚜가 린포체가 아니었다 해도 두 사람은 지금과 같은 믿음의 온기를 주고받았으리라. 앙뚜와 우르갼이 서로를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대하는 것이 보이고 느껴져서다. 우리는 믿음의 온기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7일 개봉. 전체 관람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