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땅값

우리나라의 명목 토지자산 가액, 즉 우리나라 땅값이 경제 개발이 본격화된 1960년대 이후 약 50년새 3030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국민B/S 조태형 팀장 최병오 과장, 장경철 조사역, 김은우 조사역이 분석한 BOK 경제리뷰 ‘우리나라의 토지자산 장기시계열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1960년대 중반 이후의 토지자산 시계열을 장기로 확장·추정한 결과 우리나라 땅값이 50년 새 3030배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의 전체 지가총액은 지난 1964년 1조9300억원에서 2013년 5848조원으로 3030배 뛰었다.

같은기간 대지는 5600억원에서 2971조8000억원으로 5307배 급증했다. 공장용지는 1976년 70억원에서 285조원으로 무려 4만714배 늘었고, 기타토지도 4459배 증가했다. 반면 답(883배)과 임야(2018배)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증가폭을 보였다.

이로 인해 전체 지가총액의 28.8%를 차지하던 대지는 2013년 50.8%로 급등했으나 전·답·임야는 같은기간 57.2%에서 23.7%로 쪼그라들었다. 공장용지는 0.015%에 불과했으나 2013년 4.9%로 늘어났다.

지가총액의 GDP(국내총생산)대비 비율은 1964~2013년중 평균 392%로 나타났다. 이중 1970년(547%)과 1991년(597%)에 크게 늘어났으며 2013년도 409%로 전체 평균 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우리나라 토지의 평방미터(㎡)당 평균 가격은 19.6원에서 5만8325원으로 2976배 올랐다. 평균지가는 1968년과 1978년, 1989년에 급등했고, 1983년과 2002년에도 비교적 높았다.

사진=서울신문DB(우리나라 땅값)

뉴스팀 seoule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