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리게 살다보면… 상처가 아물거야

높은 하늘, 나지막한 산,쭉 뻗은 포도밭을 배경으로 세 사람과 개 한 마리가 있는 ‘해피 해피 와이너리’의 포스터는 ‘슬로 라이프’라는 단어를 절로 떠올리게 한다. 잘 영근 포도를 나누며 미소 짓는 주인공들의 모습에서 전원생활의 여유와 나른함이 묻어나고, 파랑· 빨강·초록 등의 원색은 그림 동화의 한 페이지처럼 정겹다. 그런데 이러한 이미지는 사실 영화의 전체적 분위기라기보다 영화가 추구하는 이상향에 더 가깝다. 영화의 초점은 원제인 ‘포도의 눈물’이 의미하는 것처럼 누구나 가지고 있는 상처의 깊이와 행복을 찾기까지 버텨야 하는 고통의 시간에 맞춰져 있다. 그러나 홋카이도의 풍광, 아기자기한 디테일은 무거운 주제를 산뜻하게 포장하고 있으며, 느리게 삶을 살아가는 인물들이 자연을 통해 깨달음을 얻고 상처를 치유해 가는 과정은 기대하는 바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곳곳에 배치된 5가지 감각적 요소와 그 역할을 발견하는 재미도 쏠쏠하다.


영화는 ‘아오’가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는 모습으로 시작한다. 촉망받던 지휘자였지만 부득이하게 무대를 떠나야 했던 아오에게 음악은 좌절의 고통을 안겨준 애증의 대상이다. 그러나 음악이야말로 갈등을 해소하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난 아버지와의 접점이었음이 후에 드러나고, 다시 좋은 포도를 위한 양분으로써 새로운 의미가 부여된다. 여기에 하모니카, 실로폰 등의 악기 연주 장면이 종종 삽입되어 극의 분위기를 살리고 청각적 즐거움을 준다.

포스터에 예견된 대로 색깔은 다분히 상징적으로 사용된다. ‘아오’(파랑)와 ‘로쿠’(초록)라는 형제의 이름은 ‘소라치’(‘하늘을 알다’라는 뜻)의 풍경 속에 늘 맞닿아 있다. 로쿠는 자신이 농사짓는 밀밭의 색깔을 이미 이름 안에 가졌고 우유를 좋아하는 취향과 흰 의상으로 밀에 대한 애정을 표현하지만 아오는 그렇지 못하다. 그런 그에게 선물처럼 찾아온 것이 정체모를 여인 ‘에리카’다. 당장 와인을 연상시키는 빨간 옷을 입고 나타난 그녀는 아오가 좋은 와인을 완성시켜 나가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인물이다. 이들 세 사람의 색깔이 빛의 삼원색을 이룬다는 점도 흥미롭다. 과거의 생채기는 그들이 함께 만들어내는 빛으로 뽀얗게 채워져 나간다.

굵은 빗방울이 얼굴에 떨어지는 장면이 여러 번 반복되는데, 일부러 물방울의 질감과 피부에 떨어질 때의 순간을 강조하면서 촉각적 자극을 전달하고 있다. 또한, 풍성한 먹거리들 - 와인과 우유·팬케이크·빵 등의 음식은 등장할 때마다 구미를 당긴다. 여기서 궁금증을 자아내는 것은 아오의 와인에서 강하게 난다는 ‘흙의 맛’이다. 그런데 흙을 실제 ‘맛본’ 사람은 거의 없으므로 이것은 대략 흙에서 나는 냄새, 즉 후각적 경험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생명의 근원이자, 생명체의 역사를 고이 품고 있는 흙은 포도나무의 비밀을 알려줌으로써 아오와 에리카를 한 단계 성장시키는 중요한 매개가 된다.

슬로 라이프를 사는 이들에게도 나름의 아픔은 있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명력을 잃은 포도가 와인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처럼, 누구에게나 찾아올 법한 그 찬란한 순간을 포착해낸 것이 이 영화의 미덕이라 하겠다. 12일 개봉. 전체 관람가.

윤성은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