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출신의 결혼이주여성 호앙티앙씨는 시어머니의 국밥집을 물려받았다. 대구 달성군의 한 국밥집에서 호앙티앙씨는 시어머니의 손맛 그대로 수구레 국밥과 무침을 차려낸다. 한국어도, 한국 음식도 낯설었던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에서 차린 밥상은 한국의 맛을 닮으려는 노력과 고향의 맛에 대한 그리움이 한데 올려진 ‘퓨전’ 밥상이다. 18일 밤 7시 30분 KBS 1TV에서 방송되는 ‘한국인의 밥상’에서는 결혼이주여성들의 고군분투가 담긴 밥상을 만난다.
결혼이주여성들에게 한국의 몇몇 식재료와 음식문화는 여전히 낯설다. 경남 함양군은 전국에서 네팔 여성 이민자들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곳이다. 바다가 없는 네팔에서 온 이들에게 한국의 수산물은 신기하기보다는 ‘징그러운’ 음식이다. 전남 신안군 안좌도에는 15년 전 한국으로 온 태국댁 나린남몽콜씨가 있다. 임신 중 입덧으로 고생할 때 태국음식이 그리웠지만 먹을 수 없었던 데다 태국에서 한 번도 낙지를 보지 못한 탓에 산낙지를 먹는 문화는 쉽게 받아들일 수 없었다. 하지만 어렵사리 수산물을 손에 쥔 이들은 모국의 손맛을 곁들여 퓨전 밥상을 뚝딱 차려낸다.
섬과 섬 사이 다리가 놓이면서 신안군에는 각 나라 이주여성들의 모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생활 8년 차인 베트남 새댁 응우옌미토씨는 다문화 며느리들의 맏언니를 자처하며 한국 적응을 돕는 중재자이기도 하다. 둘째의 출산을 앞둔 만삭의 아내를 위해 남편은 토종닭을 잡는다. 돌아가신 시아버지께서 좋아하셨다는 닭백숙과 베트남식 닭조림에 담긴 사연을 들어본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